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직원 10명 케이블硏도 관피아?…미래부 인사개입 논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KLabsㆍ케이랩스)의 후임 원장 선임에 미래창조과학부가 개입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련 업계가 반발하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현 김창곤 케이랩스 원장의 임기가 지난 10월 15일 만료됨에 따라 케이랩스 이사진은 후임 원장 선임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케이랩스는 케이블업계의 공동 기술 연구 개발과 인증 업무를 위해 지난 2003년 설립된 사단법인으로 주요 케이블방송사 임원이 이사로 등재돼 있다. 직원은 10명 남짓이다.

초대 유재홍 원장(전 종합유선방송사업자협의회장)을 비롯해 임주환 원장(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김창곤 원장(전 정보통신부 차관) 등이 케이랩스 원장을 지냈다.


케이블방송 업계는 그동안 케이랩스 조직 규모에 비해 거물급 원장이 선임되면서 고비용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케이랩스 원장에게 억대 연봉과 함께 관용차량 등이 지급된다.

한 케이블방송사 CTO(최고기술책임자)는 "업계에서는 케이랩스 원장으로 업계와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실무형으로 격을 낮춰 비용을 절감하고 조직을 재정비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업계의 생각과 달리 미래부는 전 정통부 차관 출신인 K씨를 후임 케이랩스 원장으로 추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케이블방송은 대표적인 규제산업이기 때문에 주무부처의 요구를 모른 체하기 어려운 입장이다.


한 케이블방송사 대표는 "케이랩스 원장은 업계의 의견 수렴을 거쳐 선임되는 것으로 미래부가 누구를 추천해서도 안되고 추천한다 해도 수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라고 반발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관피아를 근절하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에도 불구하고 10명 남짓한 케이블연구원에까지 계속해서 정부 관료 출신이 원장으로 선임되는 것은 근절돼야 할 일"이라며 "업계가 자율적으로 필요한 인재를 선출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미래부는 "정부가 케이랩스 원장으로 누구를 추천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