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목디스크, 목 뒤에서 수술하면 효과 뛰어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목디스크'로 불리는 경추수핵탈출증 환자는 목 뒤에서 디스크를 제거하는 수술을 할 경우 통증이 크게 줄고 후유증도 적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천기·김치헌 교수팀은 경북대병원 신경외과 성주경·김경태 교수팀과 함께 이 같은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인 유럽척추학회 학술지(European spine Journal)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

서울대병원 교수팀은 목디스크 환자 22명에게 내시경을 이용한 후방접근 디스크제거술을, 경북대병원 교수팀은 다른 목디스크 환자 22명에게 튜브 및 현미경을 이용한 후방접근 디스크제거술을 한 후 2년간 관찰했다.


그 결과, 전체 환자 44명 중 38명(87%)이 목과 팔의 통증이 현저히 줄었다고 답했다.

내시경 수술을 받은 환자는 통증척도(VAS)의 평균점수가 수술 전에는 목 5.7점, 팔 6.4점 이었으나, 수술 2년 후에는 목 0.8점, 팔 0.9점으로 크게 줄었다.


튜브 현미경 수술을 받은 환자도 VAS가 수술 전에는 목 7.3점, 팔 7.7점이었으나, 수술 2년 후에는 목 1.0점, 팔 1.0점으로 크게 줄었다.


VAS(Visual Analog Scale)는 0-10 범위 점수로 통증을 평가하는 척도다. 0은 통증이 전혀 없는 상태고 10은 통증이 참을 수 없을 만큼 심한 상태다.


수술 후 40%의 환자에게서 목의 전굴(목이 앞으로 굽은 상태, 거북목이라고 부름)이 호전됐다. 전굴이 악화된 환자는 한명도 없었다.


목디스크는 목의 신경을 눌러 환자가 목을 제대로 펴지 못한다. 환자는 통증을 피하기 위해 목을 앞으로 굽히는데 이 과정에서 전굴이 생긴다. 수술로 디스크를 제거하면 목의 전굴도 자연스럽게 호전된다.


기존의 목디스크 수술법은 목 앞을 절개해 신경을 누르는 디스크 전체를 제거하고 목 관절을 고정을 하는 방법이다. 목 앞쪽에 3cm 정도 흉터가 남고 목 관절의 고정으로 인해 목 움직임이 제한된다. 장기적으로 인접 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는 문제도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공디스크를 삽입하기도 하지만 인공디스크는 시간이 지나면 기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연구팀이 시행한 후방접근 디스크제거술은 목 뒤를 최소한으로 절개한 후 내시경이나 현미경을 이용해 신경을 누르는 디스크 조각만을 제거한다. 흉터가 목 뒤라 잘 보이지 않고 기존의 디스크를 그대로 두기 때문에 목 움직임의 제한이 없으며 인접 관절의 퇴행성 변화도 줄일 수 있다.


정천기 교수는 “후방접근 디스크제거술은 기존 수술법의 문제점인 목 운동의 제한, 긴 재활기간 등의 단점을 보완하는 수술이다. 단 디스크의 위치와 척수 압박 정도에 따라 수술이 제한될 수 있으니 수술 경험이 많은 전문가와의 상담이 꼭 필요하다” 고 말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