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물림 국회의원 전성시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대물림 국회의원 전성시대
AD

[아시아경제 홍유라 기자] 19대 국회 들어 정치인 2세의 약진이 두드러지는 모양새다. 대통령, 현직 여당 대표, 전직 여당 원내대표, 전직 야당 대표 등이 모두 선친의 정치자산을 물려받았다. 돈, 주식, 계열사 등 유형의 자산이 상속되는 재벌·총수 일가의 2세와 달리 정치권에 입성하는 2세들은 '무형의 자산'을 상속받게 된다. 지역구, 후광효과, 인맥, 각종 네트워크 등이 그 예다.


2012년 시작된 19대 국회에 발을 내딛은 정치인 2세는 총 15명이다. 새누리당의 김무성 대표, 유승민 전 원내대표, 김세연, 김을동, 김태환, 유일호, 이상일, 이재영, 정문헌, 정우택, 홍문종 등 11명과 새정치민주연합의 노웅래, 김성곤, 정호준, 김한길 등 4명의 의원을 합쳐서다.

19대 국회의원 목록엔 이름을 올리지 않았으나 국회를 거쳐 간 2세 정치인도 상당수다. 정대철 새정치연합 상임고문,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김홍업, 김홍일, 정몽준, 조순형, 김용균, 정진석 전 의원 등이 있다.


이들의 국회 입성의 가장 큰 교집합은 '지역구 대물림'이다. 선친이 다져놓은 지역 기반을 고스란히 물려받는 방식이다. 이 같은 지역구 대물림엔 해당 지역의 인맥, 네트워크, 평판, 후광효과 등이 모두 포함된다. 보통 특정 지역에서 당선되기 까지 본인을 알리는 선거운동에 상당한 힘을 쏟아야 하는 게 정치다. 그런 상황에서 선친이 미리 다져놓은 지역구 자산들은 추후 당선의 큰 이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해당 정치입문 형태의 대표적인 사례가 남 지사다. 그는 1996년 부친인 고(故) 남평우 의원이 재임 기간 중 사망하자 그해 재보궐 선거에 출마해 지역구인 수월팔달을 이어받았다. 당시 남 지사의 나이 만 31세로 최연소 국회의원이라는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김세연 새누리당 의원도 부친인 고(故) 김진재 의원의 부산 금정을 지역구를 이어 받아 18대 국회 당시 당내 최연소(36)로 금배지를 달았다. 같은 당의 홍 의원도 부친인 홍우준 의원의 지역구 의정부·양주를 물려받아 당선됐다.


정 상임고문도 부친인 고(故) 정일형 의원의 지역구인 서울 중구를 물려받았다. 현재 정 의원의 손자이자 정 상임고문의 아들인 정호준 새정치연합 의원이 해당 지역구를 물려받아 3대째 지역구 대물림을 이어 가고 있다. 같은 당의 노웅래 의원도 마포구를 물려받아 3선 째 정치생활을 지속하고 있다.


직접적 지역구 대물림이 아니더라도 인맥·네트워크 대물림으로 정치권 입성에 도움을 얻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김 대표는 과거 국회보 특집 '2세 국회의원에게 들어본다'에서 "아버지(故 김용주 의원)와 장인의 지인들과 고향 분들에게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며 "그중 특히 함양향우회와 남해향우회는 결속력이 대단해 지역구를 가진 나에게 큰 힘이 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여러 형태의 사적 모임으로 형성된 인맥이 정치력을 키워가는 데 실질적 도움이 된단 의미다.




홍유라 기자 vand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