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신흥국 자본이탈 금융위기때의 두 배…"앞으로 더 심해질 듯"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신흥국 자본이탈 금융위기때의 두 배…"앞으로 더 심해질 듯"
AD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신흥 시장을 빠져 나간 자금이 1조달러를 넘어설 태세다.


18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투자은행 NN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전 ING인베스트먼트매니지먼트)는 2014년 6월부터 2015년 7월까지 13개월 간 19개 주요 신흥 시장에서 이탈한 자금이 9402억달러라고 집계했다.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3개 분기 동안 신흥 시장에서 빠져나간 자금 4800억달러의 두 배 수준이다.

2009년 7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2조달러 자금이 신흥 시장으로 순유입됐던 상황과 대조적이다. 신흥국들은 금융위기로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었을 당시 세계 경제 성장 견인차 역할을 해왔다.


NN인베스트파트너스는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와 미국의 금리인상이 맞물리면서 앞으로 신흥 시장 자본이탈 현상은 더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문제는 신흥국 경제가 성장 둔화와 통화가치 하락으로 비틀거리고 있는 상황에서 계속되는 자본이탈은 내수 위축으로 이어지고, 이는 곧 글로벌 수요 둔화를 야기해 세계 경제에도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신흥국 자본이탈이 한창이던 지난 6월 신흥 시장의 수입 규모는 전년 동기대비 13.2% 줄었다.


네일 시어링 캐피탈이코노믹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신흥 시장이 계속되는 자본이탈 때문에 수요자 역할을 제대로 못하면 원자재 가격은 앞으로 더 낮아질 수 밖에 없고 이는 원자재 생산국 경제에도 직격탄을 날린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직 바닥에 도달했다는 어떠한 신호도 나타나지 않았다"면서 당분간 신흥 시장의 자본이탈과 수요 감소 추세가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번드 버그 소시에떼제네랄 전략가는 "신흥 시장 통화가치 하락은 현재 최악의 폭풍을 마주하고 있다"면서 "선진국 경제가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의 취약한 경제를 견인할 만큼 강한 회복세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세계 경제 공포가 더 커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