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수자원공사, 수질검사 항목 250개 망라 '수질자료집' 발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수자원공사, 수질검사 항목 250개 망라 '수질자료집' 발간
AD

[아시아경제 김종화 기자]한국수자원공사(케이워터)가 국내외 수질검사 항목 250개의 물질 특성과 관리 현황에 대한 안내서인 'K-water가 알려주는 건강한 수돗물 수질항목 250'을 발간했다.


'K-water가 알려주는 건강한 수돗물 수질항목 250'은 수질검사 항목의 물질특성, 배출원, 관리현황, 인체 위해성 등을 물 관련 종사자뿐 아니라 일반인도 알기 쉽게 정리해 그동안 확인하기 어려웠던 내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했다.

또 수질검사 항목에 대한 DB를 구축·공개해 수질사고가 발생할 경우 지자체 등 수도시설 운영기관이 신속·정확하게 대응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상수원보호구역내 유조차가 전복돼 상수원 오염사고가 발생한다면 벤젠 등에 대한 인체 위해성(백혈구 감소, 암 유발 등)과 수처리 방법(활성탄 처리 등) 정보 등을 활용해 신속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

최근 상주에서 발생한 농약 음료수 사건의 경우도 주원인 성분인 메소밀(Methomyl)은 맹독성 살충제로 구토, 호흡곤란, 폐부종 등 인체 위해성이 있는데 상수원에 누출되었을 경우 활성탄을 사용해 정수처리가 가능한 물질인지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케이워터는 지난 2002년부터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수질검사 항목 보다 훨씬 강화된 250개 항목의 수질검사를 실시해 오고 있는데 법정 수질항목인 먹는 물 수질기준(59개)과 감시항목(26개) 외에도 검출현황, 위해성 등을 고려해 미네랄, 농약류, 의약물질, 내분비계 장애물질 등의 자체감시항목(165개)으로 구성돼 있다.


케이워터는 'K-water가 알려주는 건강한 수돗물 수질항목 250'이 두루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기관, 지자체, 대학교 등 400여개 기관에 배포하고, 케이워터 홈페이지(www.kwater.or.kr)에도 게시했다.


최병만 케이워터 연구원장은 "그동안 쉽게 알기 어려운 250가지 수질검사 항목의 특성을 널리 알림으로써 일반 국민의 이해를 돕고, 수도시설 운영기관에서는 수질이상 발생 등 긴급 상황에서 신속 정확한 의사결정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