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자치단체들, 해수욕장 안전관리에 '비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아시아경제 최경필]


안전요원 확보에 전전긍긍…정부예산 지원 없어 예비비 편성도

그동안 해경이 맡아왔던 해수욕장 안전관리 책임이 올해부터 지자체로 바뀌면서 안전사고 대비에 비상이 걸렸다.

전남지역 해수욕장 대부분이 지난주부터 개장했지만 자격을 갖춘 안전요원 확보에 애를 먹었고, 정부 예산도 지원되지 않아 예비비 편성을 준비하는 등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11개의 해수욕장이 문을 연 신안군의 경우 해수욕장이 섬에 있어 안전요원들이 근무를 기피함으로써 14개 해수욕장 중 11개만 겨우 채워 개장했다.

지난 20일에서야 우선 필요한 24명을 확보해 안전교육을 마칠 수 있었다. 여기에 필요한 예산만 1억1000만원으로 예비비를 투입하기로 했다.


신안군 관계자는 “신안지역 해수욕장은 수심이 얕아 보트 등 해상구조장비는 투입되지 않지만 여름철 아르바이트로 근무하는 안전요원들이 기피해 전남도에서도 걱정을 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었다”며 “정부 예산 투입까지 늦어져 예비비를 사용하는 것도 만만치 않은 부담”이라고 토로했다.


고흥군은 12개 중 10개 해수욕장이 개장한 가운데 수심이 깊은 곳이 많아 각 해수욕장마다 5~8명씩 67명을 어렵게 확보했다.


그나마 민간구조단체인 해양구조협회나 잠수협회의 도움을 받았고, 해상구조를 위한 보트나 선외기 등을 임차해 배치했다. 여기에 필요한 예산만 2억4500만원으로 예비비 투입을 위해 의회를 설득하느라 애를 먹었다.


고흥군 관계자는 “야간에도 입수 통제를 위해 안전요원을 2인1조로 투입하고 보건소 직원도 현장근무에 나서는 등 안전사고에 대비하고 있다”면서 “사고 발생 때 모든 책임을 자치단체가 져야 하기 때문에 폐장 때까지 긴장을 늦출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12개 중 10개 해수욕장이 개장한 완도군도 마찬가지. 민간구조단체 회원 등 44명의 안전요원을 확보, 피서객들이 대거 몰리는 명사십리해수욕장에만 21명이 투입되며 예비비로 1억1000만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처럼 해수욕장 안전관리가 지자체 책임으로 떠안겨지자 전문성을 지니지 못한 자지단체들은 해수욕장 폐장 때까지 공무원들이 비상근무를 하는 등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정용태 순천청암대 응급구조과 교수는 “안전관리는 원스톱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인데 관리주체를 각 지자체로 이관함으로써 지휘체계가 분산될 우려가 있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다”면서 “해상안전의 경우 해양경찰로 일원하는 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소신을 밝혔다.




최경필 기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