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려되는 ‘국정원의 성명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우려되는 ‘국정원의 성명서’ 양낙규 기자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정보기관인 국가정보원이 해킹 논란에 이어 성명서 논란에 휩싸였다. 국정원은 지난 17일 항변성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19일에는 전체 직원 명의로 성명성 보도자료를 발표했다. 댓글 사건 이후 더 이상의 이미지 실추를 막고 국가 정보기관으로서 명예를 회복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전면 대응으로 해석되지만 이를 놓고 정보기관이 단체행동을 해서는 안된다는 비난이 거세지고 있다.


국정원은 17일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국정원을 근거 없는 의혹으로 매도하는 무책임한 논란은 우리 안보를 약화시키는 자해행위"라며 정치권을 겨냥해 비난했다. 그러나 국정원 직원들의 이 같은 행동은 '국정원은 특정 정당이나 특정 정치인에 대하여 찬양하거나 비방하는 내용의 의견 또는 사실을 유포하는 행위를 금지한다'는 국정원법 9조 2항을 어긴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국정원은 이날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의원들에게 프로그램 사용 기록을 공개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 발표도 좀 더 신중해야 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국정원이 의혹 해소를 위해 '삭제 자료 공개' 카드를 선제적으로 내밀었지만 성급히 공론의 장에 국가기밀을 올렸다는 지적때문이다.


여기에 국정원은 발표 이후 해킹 프로그램만큼을 더욱 철저하게 관리됐어야 했다. 하지만 의혹의 핵심인 직원 임모씨는 해킹자료를 삭제해 버렸다. 임 씨가 해킹자료를 삭제하는 것을 사실상 국정원이 방조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국정원은 임씨가 자살하자 지난 19일 '동료 직원을 보내며'라는 성명서를 통해 "그는 2012년도 문제의 해킹 프로그램 구입을 실무판단하고 주도한 사이버 전문 기술직원"이라며 "그의 죽음을 정치적 공세를 이어가는 소재로 삼는 개탄스런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며 단체행동을 이어가고 있다.


국정원 요원을 잃는 것은 국정원 차원을 떠나 국가적으로도 크나 큰 손실이다. 하지만 정보기관이 스스로 나설 일은 아니다. 명예를 회복하겠다며 나서지만 불명예스러운 일만 겪을까 우려스럽다.


국정원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홍보하기 위해 국정원내부에 안보전시관을 운영중이다. 이 전시관에 가면 임무를 수행하다 세상을 떠난 국정원 요원들을 기리는 별 표식 있다. 별은 48개다. 이 별에는 이름도, 사망연도도 없다. 오로지 별 하나로만 표식을 해 충직함을 나타낸다. '무명(無名)의 헌신으로 대한민국을 지킵니다.' 라는 국정원의 표어와 비슷하다. 국정원은 억울함도 이해는 하지만 여론에 휘말리지 않는 충직함을 다시 보여줬으면 하는 바람이 더 크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