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임신부 비타민C 결핍, 태아 뇌발달 악영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

임신부 비타민C 결핍, 태아 뇌발달 악영향 서울의대 해부학교실 이왕재 교수
AD

임신부 비타민C 결핍, 태아 뇌발달 악영향 서울의대 해부학교실 강재승 교수

임신부의 비타민C 결핍이 태아의 뇌 발달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서울의대 해부학교실 이왕재·강재승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 결과를 항산화 의학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미국 활성화산학회지(ARS, Antioxidant & Redox Signaling)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사람과 같이 비타민C를 합성하지 못하는 생쥐를 만든 후 A그룹에는 임신기간 3주 가운데 2주간 비타민C를 투여하지 않았고, B그룹에는 임신전 비타민C를 투여했다. 그 결과를 비타민C를 합성할 수 있는 생쥐인 C그룹과 비교했다.


그 결과 비타민C가 유지된 B그룹과 C그룹에선 평균 7~8마리의 태아를 출산한 반면, A그룹은 3~4마를 출산했다. 또 비타민C가 공급된 그룹은 모두 건강한 태아를 출산했지만, 결핍 그룹은 유산이나 사산 비율이 50~60%였고, 생존해도 출혈로 인해 심각한 뇌손상을 입었다. 특히 뇌 가운데 운동기능과 관련된 소뇌의 구조적인 변화가 뚜렷했다.

연구팀은 정상적으로 성장한 생쥐라도 성장 후에 비타민 C를 지속적으로 결핍된 상황에 두면, 소뇌에서 기능적 손상이 생겨, 운동 기능 장애가 발생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이왕재 교수는 “임신 기간 중 모체의 비타민 C 결핍이 태아의 발달에 악영향을 미치며, 성체에서의 비타민 C 결핍이 운동 기능 장애를 유발한다는 것을 생체를 대상으로 규명한 최초의 연구”라며 “임신 기간 중 음식이나 보충제로 비타민 C를 섭취하면서, 정상 수준의 비타민 C 농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강재승 교수는 “뇌는 혈액보다 비타민 C를 50~250배 더 많이 저장하는 장기다. 비타민 C가 단순히 활성산소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역할 뿐 아니라, 뇌의 발달과정과 기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며 “사람을 대상으로 비타민 C 농도와 정상적인 출산과의 연관 관계 및 운동 기능 장애를 동반하는 질환과의 연관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임상 연구진과 공동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