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하지, 감자 넣고 밥 짓는 이유?…'여름'에 제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29초

하지, 감자 넣고 밥 짓는 이유?…'여름'에 제격 감자. 사진=아시아경제 DB
AD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하지를 맞아 이날 풍습에 대한 네티즌들의 관심이 뜨겁다.

22일은 1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가장 긴 하지다. 이날은 24절기 중 열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망종과 소서 사이다.


하지는 24절기 중에서도 다른 절기보다 더 중요한 시기로 여긴다. 단오쯤 시작한 모내기가 하지에 이르면 끝이 나기 때문이다. 특히 하지 날에는 논에 물대기를 하고 동시에 장마와 가뭄에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추수 시기와 더불어 1년 중 농사에 있어 가장 바쁜 때로 꼽힌다.

이날 먹는 대표적인 음식은 감자다. 비타민C와 칼륨이 풍부한 감자는 열을 식혀주는 성질이 있어 무더운 여름에 먹기 좋다. 게다가 이 무렵이 제철이어서 '햇감자'를 '하지감자'라고 부르는 지방도 있다.


하지감자는 4월 초에 밭에 심어 6월 중순경에 수확한다. 강원도 평창에서는 하지에 밥을 지을 때 감자를 넣어 지어야 그해 감자농사가 풍년이라는 말도 전해 내려오고 있다.


마늘 또한 하지마다 즐겨 먹는 음식이다. 하지 이전에 수확된 마늘은 향이 짙지 않고 맛이 연하기에 장아찌를 담기에 좋다. 마늘 속 알리신 성분은 식욕을 증진시키며 소화와 혈액순환을 돕는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