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산불 난 숲 발자취와 지금 모습 항공사진으로 본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2초

산림청, 항공사진 및 임상도 분석…대형산불 난 동해시 일대 35년 전부터 최근까지 숲 발자취와 현주소 공개, “숲 되살리기 많은 돈, 시간 필요…논·밭두렁 태우기와 숲속 흡연 조심”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산불이 난 숲의 바뀐 발자취와 현주소를 항공사진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산림청은 8일 대형 산불이 났던 강원도 동해시 일대의 35년 전부터 최근까지의 항공사진과 임상도를 분석한 결과를 내놨다.

산림항공사진으로 본 1980년도 동해시 소망산 일대는 10~20년생 소나무와 활엽수들로 이뤄진 숲이었으나 산불이 난 뒤인 2000년도엔 대부분 황량한 모습을 보였다.


최근 2013년 항공사진엔 푸른 숲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2000년 산불 이후 산벚나무 등을 심어 경관림 조성과 소나무, 굴참나무, 느티나무, 피나무, 해송 등 갖가지 나무들을 심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한편 2000년 4월 일어난 동해안 산불로 고성군, 동해시, 강릉시, 삼척시 등 강원도 지역과 경북 울진군에 이르기까지 2만3794ha의 숲이 사라졌다. 이는 서울 여의도 면적의 28배에 이른다.


류광수 산림청 기획조정관은 “이번 분석을 통해 불탄 산림이 숲으로 바뀌어가는 모습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류 조정관은 “숲을 되살리기까지는 많은 돈과 시간이 필요하다”며 “오는 5월15일 산불조심기간까지 논·밭두렁 등 숲과 맞닿은 곳의 불태우기와 숲에서의 담배피길 삼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