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이버보안 전문가들, "정보보호 서비스 대가 정상화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우리나라가 사이버 보안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정보보호 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정상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재유 미래창조과학부 2차관이 3일 저녁 한국인터넷진흥원 서초사옥에서 개최한 '제4차 정보통신기술(ICT) 정책 해우소'에서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은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R&D추진 현황, 국내 보안업체의 기술경쟁력 강화방안, 정보보호 R&D추진 현황 및 성과확산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전문가들은 "정보보호 서비스는 일반 소프트웨어(SW)와 달리 해킹이나 악성코드 감염 등 외부 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며 "정보보호 서비스 대가 정상화를 통해 보안업체 수익 증대→우수인력 유입→기술·제품 경쟁력 향상·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또, 국가 방위산업이자 고성장산업인 정보보호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R&D) 예산을 대폭 확대할 필요하며 해외 진출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기술력과 함께 외국어 능력도 함께 보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참석자들은 이어 "국내 정보보호 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글로벌 보안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정책 수립과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ICT정책해우소에 앞서 최재유 차관은 더팔래스 호텔에서 지식정보보안산업협회(KISIA) 등 산업계와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등 전문가들을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개최하고 정보보호 민간기업의 정보보호 수준 강화를 위한 CISO의 역할 강화 및 보안제품 성능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최재유 2차관은 "정보보호 시장구조 개선, 보안투자 촉진을 통해 정보보호 산업이 우수한 벤처창업으로 이어지고, 새로운 먹거리가 되는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국내 보안업체가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 '한국형 정보보호 모델'이 해외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