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위암 로봇수술, 복강경보다 합병증 적어"<성모병원 연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국내 의료진이 위암 로봇수술과 복강경 수술의 합병증 발생빈도를 분석한 결과 로봇수술의 발생빈도가 낮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1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 위장관외과 송교영 교수팀이 로봇수술 시행 초창기 복강경 수술과 각 40례의 수술 후 임상적인 인자를 측정한 결과 수술 후 췌장염 발생빈도가 복강경 수술군에서 22.5%인 반면, 로봇수술 군에서는 10%라는 결과를 얻었다.

그동안 복강경 수술과 로봇수술은 개복수술에 비해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합병증이 적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위암에서 로봇수술이 고가인 만큼 복강경 수술보다 효과적인지 논란이 있었다.


송 교수팀은 로봇을 이용한 수술시 췌장을 자극하는 회수가 복강경에 비해 더 적다는 점에서 췌장염 발생빈도가 더 작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환자들의 임상경과를 관찰했다.

위암수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 중 가장 흔한 것은 췌장염이다. 췌장은 위의 등쪽에 위치하므로 수술 중 지속적인 자극에 의해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다.


송교영 교수는 "그동안 다방면에 있어 로봇수술에 대한 논란이 많이 있었으나 그 중 위암 로봇수술의 장점에 대한 객관적인 통계를 산출한 첫 시도"라며 " 암세포 특성상 조금이라도 남아 있으면 재발하는 것이 특징이지만 로봇 수술을 통해 좀 더 암 발생부위를 완전하고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술자 입장에선 개복이나 복강경 수술에 비해 피로도가 적으므로 장시간을 요하는 위암 수술에 적합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 보고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서지컬 리서치(Journal of Surgical Research)' 4월호에 게재됐다.


로봇 수술은 복강경 수술에서 한단계 개선된 수수로, 로봇을 환자에게 장착하면 의사가 원격으로 조종하여 복강경 수술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한다. 의사가 로봇을 조종하는 데 쓰는 작동 콘솔과 로봇 카트 등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고 이 중 로봇카트는 높이가 약 2m, 무게 약 540kg에 이를 만큼 큰 덩치를 가지고 있다. 본체에는 4개의 팔이 달려 있는데, 가운데에는 환자의 몸 속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카메라가 붙어 있고 나머지 팔은 수술용 기구가 달려있다.


복강경 수술과 다른점은 3차원의 높은 해상도를 기반으로 환부를 10~15배 정도 확대된 영상을 볼 수 있는 수술용 카메라가 있어 좋은 수술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수술하는 의사의 손 움직임이 디지털화되므로 집도의의 미세한 손 떨림을 막을 수 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