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부, 1984년 김일성 조기퇴진 대비 구체계획 마련…외교문서 공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아시아경제 김동선 기자]정부가 1984년 김일성의 퇴진설이 제기되자 북한의 권력 승계 가능성에 대비해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정부는 그해 5∼6월 진행된 김일성의 소련ㆍ동유럽 순방이 사실상 '고별 방문' 성격이 짙다고 보고 김정일로의 조기 권력 이양 가능성이 상당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됐다.

외교부가 30일 공개한 외교문서에 따르면 1984년 6월23일 일본 외무성 북동아과장은 주일 한국대사관 정무과장에게 '김일성이 머지않아 주석직에서 은퇴하고 김정일이 주석이 될 것'이라는 정보를 알렸다.


김일성의 직전 방문지였던 불가리아와 루마니아의 외무성 고위 관리가 현지의 일본대사관 고위직에게 말한 정보가 그 근거였다.

불가리아 고관은 '1985년에는 김정일이 주석이 돼 있을 것이라 한다'고 루마니아 고관은 '이번 소련ㆍ동구 방문은 김(일성)이 머지않아 은퇴, 김정일에게 뒤를 물려주기 위한 준비의 의미가 있다'고 말한 것으로 주일 한국대사관은 보고했다.


정부는 이런 보고에 따라 김일성의 퇴임 대비책을 논의했다. 1984년 7월11일에는 박세직 당시 안기부 제2차장이 주재하고 청와대, 총리실, 외무부, 내무부, 국방부, 통일원, 문화공보부 등이 참여하는 실무국장회의가 열렸다.


정부는 김일성 생존시와 사망시 두 경우로 나눠 문공부 장관이 발표할 김정일 권력 승계 관련 대북 성명의 골자도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는 대외적으로 김정일 정권의 비정통성에 대해 '은밀한 홍보활동'을 편다는 내용을 대책에 포함했다. 서방뿐만 아니라 공산권 사회도 김정일의 권력 세습을 인정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군 내부에서는 권력을 넘겨받은 김정일이 대남 무력 도발을 감행할 구체적 시기를 예상하기도 했다.


국방정보본부는 1984년 7월10일 작성한 '김정일 권력승계에 따른 대남도발 위험성 판단 및 대비책' 문건에서 "1988년 한미 대통령 선거기, 1988년 올림픽 개최 및 북한군 훈련 양상 등의 면에서 1988년 4월이 가장 취약하다"고 기술했다.


그러나 중ㆍ장기적으로는 남북교류 추진을 위해 대화 분위기를 조성하는 방안도정부는 검토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외무부가 그해 8월 작성한 '외무부 대책'에는 김일성 퇴진 직후 1개월은 김일성을 집중적으로 규탄하되 이후 1∼2개월은 대북 비방을 전면 중지하고 아웅산 사건에대한 거론을 일단 유보한다는 내용이 있다.


김정일은 실제로 후계자 지위를 대외에 공식화한 1980년 10월 이후 막후 통치자로 군림했으며 김일성은 상징적 존재로 점차 실권에서 멀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김일성이 1994년 사망하기 이전까지 김정일로의 공식적 정권 이양은 이뤄지지 않았다.




김동선 기자 matthe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