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위성발사]아리랑 3A호 파급효과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9초

25억 달러 위성 영상 분야 진출, 민간업체 참여로 저변 확대될 듯

[위성발사]아리랑 3A호 파급효과는 ▲아리랑 3A호가 러시아에서 발사되고 있다.[사진제공=미래부, 항우연]
AD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우리나라도 이제 고해상도 지구 사진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여기에 적외선을 이용해 깜깜한 밤에도 촬영이 가능해 위성 영상 경쟁력이 높아졌다.

아리랑 3A호는 고해상도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흑백(PAN)은 0.55m, 칼라(MS)는 2.2m, 적외선(IR)은 5.5m 해상도를 갖추고 있다. 국내 최초의 고해상도 적외선 영상 제공이 가능하다는 점이 경쟁력이다. 적외선영상 활용분야가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리랑 3A호 위성본체 개발에는 AP우주항공 등 민간업체들이 참여했다. 그동안 정부가 중심이 된 공공위성의 경우 민간업체 참여가 없었다. 기술 이전을 통해 민간업체가 참여함으로써 위성 기술의 저변이 넓어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앞으로 민간업체들의 참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세계적으로 위성 영상 분야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세계 지구관측 위성영상 시장 규모는 2013년 기준으로 약 14억9300만 달러에 이른다. 앞으로 5년 이내 25억60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아리랑 3A호를 통해 고해상도(서브미터급) 위성영상 수요의 독자적 공급기반 구축이 가능하다. 해외 의존도를 줄이고 위성영상의 활용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셈이다.


아리랑 3A호를 통한 적외선 영상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는 많다. 적외선 영상을 통한 지상·환경관측이 가능하다. 농작물 작황과 산불피해 분석 등 국가 재난관리업무에 필요한 고해상도 위성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 우주개발능력의 향상을 통한 국가 경제력과 과학 기술력이 높아졌다는 것도 눈에 보이지 않는 효과이다. 대외 신용도 증진도 기대된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