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금이 골든타임"…정부, 올해 바이오의약품에 3400억원 지원

시계아이콘01분 4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기업 희망 아이템 발굴·투자(올해 180억원, 2017년까지 500억원)
민·관 공동펀드 활용, 글로벌 임상 지원 확대(2014, 775억원→2015, 1105억원)
연구하는 의사 생애전주기 지원 등 2017년까지 2000명 인력 확보
수출지원 컨트롤타워 구축 및 해외진출 전방위 지원(2015년 37개국 정보제공)


"지금이 골든타임"…정부, 올해 바이오의약품에 3400억원 지원 바이오산업과 전망
AD

[아시아경제 권용민 기자] 정부가 현 시점을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골든타임'으로 보고, 기술개발부터 글로벌 임상, 생산·수출에 이르는 전주기에 걸쳐 올해 총 3400억원을 지원한다. 이는 지난 1월 정부가 합동으로 발표한 '역동적인 혁신경제'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17일 미래창조과학부·산업통상자원부·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는 과천 정부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바이오헬스 미래 신사업 육성 전략(이하 바이오미래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우선 기업 희망 아이템 발굴·투자 및 암·난치질환 치료제 등 제품지향형 부처연계사업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기업이 희망하는 아이템을 발굴해 기술개발-임상-인허가-수출 등 토털패키지로 지원하는 신규 프로젝트(2015년 180억원, 2017년까지 500억원)를 추진한다. 다부처 연계 지원을 통한 암·관절염·척수손상 등 난치질환에 대한 줄기세포·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한다.


또 정부-민간 공동 펀드를 활용한 글로벌 임상지원 확대 및 해외 인허가 신속 지원도 병행한다. 해외 임상지원 가능한 펀드 규모를 확대(2014년 775억원→2015년 1105억원)하고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의 첨단 바이오의약품 해외 임상 지원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미국 FDA 임상·인허가 획득 표준 모델 마련 및 신흥국 중심의 '자동승인' 대상국도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다.


인력 측면에서는 2017년까지 연구 역량을 갖춘 의사를 2000명 확보하고, 바이오인포매틱스 등 새로운 분야에 대한 취업 연계형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의과학 전공의 의대생이 중개연구 책임자로 성장하기까지 생애 전주기에 걸쳐 지원 및 취업 연계형 연구인턴제 시범 도입한다.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신기술분야에 대한 일자리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산·학·연 연계 현장형 교육을 통해 취업을 지원한다.


아울러 해외진출 컨트롤타워를 중심으로 해외진출 전방위 지원 및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의 대-중소기업 협력을 활성화한다. 수출지원센터 중심으로 현지 시장의 임상·인허가 규제·약가 정보 등을 종합제공하고, 1:1 멘토링 지원 등 현지지원 서비스 신설을 마련한다.


이번 바이오미래전략은 각 부처가 전략 수립 과정에서부터 공동으로 공백분야를 발굴해 공동의 성과목표를 설정, 부처 협업 이행사업을 마련하는 등 전략의 실효성을 제고한 최초의 전략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부터 기존 사업을 바이오미래전략의 방향성에 맞게 우선 조정하고, 부처간 상호 협력을 통해 2016년도 신규 예산을 신청할 계획이다.


정부는 향후 실무점검단을 통해 각 부처의 전략 이행 여부를 공동 점검하고, 점검 결과를 역동적 혁신경제 (차관급)협업TF(팀장: 미래부 1차관)」에 상정해 분기별로 관리하는 등 강도 높게 이행 점검을 할 예정이다.


이석준 미래부 차관은 "이번 바이오 미래전략은 우리가 도전해볼만한 태동기 바이오헬스 미래산업 육성을 위해 선택과 집중을 통해 부처가 공동으로 전략을 수립·관리·점검·예산 확보를 추진하는 등 박근혜 정부의 협업취지를 살린 전략"이라며 "전략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예산 연계 등 보다 강력한 추진 방식으로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의약품분야를 시작으로 태동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국가 전략을 수립하고 추후 의료기기·서비스 분야까지 연내 순차적으로 바이오산업 육성전략을 마련해 강도높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전세계 바이오헬스 시장은 2024년이후 반도체·화학제품·자동차 등 우리나라 주력수출산업의 전세계 시장규모를 추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줄기세포치료제·유전자치료제 등 태동기 바이오의약품 분야는 아직까지 시장의 절대강자가 부재해 최초 제품을 출시한 기업이 해당 시장을 리드할 수 있는 분야다.


우리나라는 줄기세포치료제에 대한 세계 최고 수준의 상용화 및 임상연구 건수를 보유해 기술·임상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국내 바이오벤처가 지속적으로 성장해 우리의 강점을 잘 살리면 글로벌 시장 선도가 가능한 분야로 꼽힌다.




권용민 기자 festy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