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소변으로 알 수 있는 건강상태, 색깔·냄새·특징별 ‘위험질병’ 알아보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소변으로 알 수 있는 건강상태, 색깔·냄새·특징별 ‘위험질병’ 알아보자


소변으로 알 수 있는 건강상태, 색깔·냄새·특징별 ‘위험질병’ 알아보자 자료사진
AD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미국 건강정보사이트 '프리벤션(Prevention)'이 소변의 상태와 특징을 통해 질병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했다.


▲ 단 냄새가 나는 소변
소변의 단 냄새는 당뇨를 진단하는 중요한 근거 중 하나다. 당뇨 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내가 계속 난다면 혈당 수치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는 의미일 수 있으므로 담당의와 상의해보는 것이 좋다.

▲ 투명하지 않고 뿌연 색의 소변
소변은 맑고 투명해야 한다. 만약 불투명하고 뿌옇다면 요로 감염증을 일으키는 세균이 원인일 수 있다. 필립스 박사에 따르면 혼탁한 소변은 세균 및 세균과 싸운 백혈구의 분비가 원인이다. 배뇨 시 통증이 동반되거나 화장실을 가는 횟수가 잦으면 감염증일 확률이 높으나 이러한 증상이 없더라도 소변이 뿌옇다면 감염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 붉은색이거나 분홍색을 띄는 소변
간혹 사탕무나 블루베리 등을 먹었을 때 소변 색이 붉어질 수 있다. 만약 아니라면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온 것일 수 있다. 신장 질환, 종양, 요로 감염, 전립선 혹은 다른 기관에 문제가 생긴 것일 수도 있다. 납 혹은 수은 중독의 가능성도 있다.


▲ 악취가 나는 소변
소변 냄새가 좋을 수는 없지만 부패한 음식이나 하수구 냄새처럼 심한 악취가 나는 것 역시 정상은 아니다. 만약 이처럼 악취가 심하다면 방광에 감염이 일어났다는 신호일 수 있다.


▲ 자꾸 소변을 보고 싶다면
요로 감염증의 전형적인 증상 증 하나는 화장실이 자꾸 가고 싶어지는 증상이다. 방광과 요도 내벽에 염증이 생기면서 자극을 받아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만성적으로 방광에 통증이 나타나는 간질성 방광염 역시 절박뇨와 빈뇨가 동반된다.


▲ 거품 혹은 기포가 많이 생기는 소변
가끔 있는 경우라면 소변의 압력 때문일 수 있다. 하지만 지나치게 단백질을 먹었거나 신장에 이상이 있다는 징후일 수 있다.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병원을 가는 게 좋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