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댐 저수량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4초

국토부, 3월부터 용수공급 가능 기한 실시간 공개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앞으로 댐 저수량이 시점별 기준량에 미달하면 용수 비축 체제로 전환되고 용수 공급 가능 기한이 실시간으로 공개된다. 댐 저수량 부족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국토교통부는 기상이변에 따른 용수 부족에 미리 대응하기 위해 그동안 축적된 댐 운영 관련 빅데이터를 IT기술로 분석해 새로운 용수공급조정기준을 마련했다고 2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가뭄이 발생해 댐의 저수율이 낮아지면 임기응변식으로 비축 필요성을 검토하고 관계기관 협의 등의 복잡한 절차를 거쳐 용수공급조정 시행 여부를 결정해왔다. 물 부족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어려웠던 이유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물 관련 부처가 참여한 댐보연계운영협의회에서 새로운 용수공급조정기준을 마련했다.


개선방안은 댐 별 기준 저수량을 특정 시점별로 설정하도록 했다. 저수량이 이에 미달하면 수계별 댐보연계운영협의회에서 용수공급 감축량을 논의해 용수 비축 체제로 전환하게 된다. 3월부터는 용수공급 상황을 관련 기관과 일반 국민이 알기 쉽도록 한국수자원공사, 홍수통제소 홈페이지에 현재 저수량을 기준으로 용수 공급 가능 기한을 실시간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선제적 용수비축방안을 2년 동안 시범 운영하고 그 결과를 검토해 보완할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동안 복잡한 절차로 댐 용수량을 적기에 비축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앞으로는 강우량이 부족할 경우 보다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적기에 용수를 비축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