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朴 "IS 등 테러위협 수위 넘어…철저한 대비태세 갖춰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5일 "최근 수니파 원리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의 무차별적인 테러와 살상에서 보듯이 지구촌의 갈등과 분쟁, 테러의 위협이 위험수위를 넘어서고 있다"며 "그 어느 때보다도 민ㆍ관ㆍ군ㆍ경의 긴밀한 협력체제 구축이 필요하고, 평소에 국민의 안전을 해칠 수 있는 다양한 위협 요인에 대한 철저한 대비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제48차 중앙통합방위회의를 주재하며 국민을 안심시킬 수 있는 전방위적 총력안보태세 확립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하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또 "우리는 세계가 놀라워하는 번영과 발전의 역사를 이뤘지만 아직도 조국통일이라는 마지막 과업은 이루지 못하고 있다"며 "앞으로 한반도 통일시대를 열어가는 길에 가장 중요한 토대가 튼튼한 국방과 안보라는 점에서 오늘 중앙통합방위회의가 갖는 의미가 각별하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국무총리가 의장인 이 회의를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직접 주재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현재의 엄중한 안보상황을 감안해 민ㆍ관ㆍ군ㆍ경이 하나된 총력안보태세를 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상황인식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는 국무총리와 국무위원을 비롯해 국정원ㆍ군ㆍ검찰ㆍ경찰 관계관, 광역시ㆍ도지사 등 230여명이 참석했다.


올해 회의에선 새로운 안보위협과 작전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통합방위체계의 패러다임을 재설계할 필요성이 제기됐으며, 이에 따른 '통합방위체계 재정립 방안'을 발표하고 토의했다.


중앙통합방위회의는 1968년 무장공비 침투 대비책을 마련하기 위해 치안 관계관 회의 성격으로 처음 열렸다. 1988년까지는 매년 대통령이 회의를 주재했다. 이후엔 국무총리가 의장으로서 주재했지만 통상 정부 출범 초기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는 경우도 있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4년 37차 회의를, 이명박 전 대통령은 42차와 44차 회의를 주재했다.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