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 창동 차량기지 부지 2017년부터 본격 개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6초

日 사이타마현 신도심 모델 삼아 3단계 도시재생 계획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 도약으로 10조원 경제효과 기대


서울 창동 차량기지 부지 2017년부터 본격 개발
AD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서울 도심의 배후주거지에 머물고 있는 창동·상계 일대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구체적인 개발 계획안이 나왔다.


일본을 순방중인 박원순 서울시장은 4일 대표적 철도부지 재생사례로 꼽히는 사이타마현 신도심 현장을 시찰하고 이와 유사한 사례인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 프로젝트를 2017년부터 3단계로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창동·상계 프로젝트는 기존 철도차량기지가 이전하면서 발생한 대규모 부지를 활용해 신경제중심지로 만들겠다는 민선 6기 대표적인 도시재생 사업이다.


사이타마현 신도심은 지난 1998~2003년 도쿄의 기능을 분산하고자 폐기된 철도부지 및 공장부지를 활용해 상업·문화·체육시설 등 복합적인 개발이 이뤄진 곳으로, 경찰국과 감찰국 등 17개 정부기관을 이전하고 슈퍼아레나를 건설했다.


시는 1단계로 우선 개발이 가능한 창동역 환승주차장, 문화체육시설 부지 등 시유지에 공공이 투자하는 선도 사업을 추진, 파급효과를 노릴 계획이다. 아레나 건립은 민간투자를 적극 유치해 추진하게 된다.


일본 사이타마 슈퍼아레나, 런던의 O2아레나가 도심의 기능을 부도심으로 분산시키고 지역활성화를 유도했던 사례처럼 창동·상계 지역도 아레나급 복합문화공연시설을 통해 '사람이 모이는 곳'으로 만든다는 설명이다.


2단계는 2019년 말까지 남양주로 이전이 완료되는 창동 차량기지 17만9578㎡를 융합캠퍼스존, 첨단산업존, 인큐베이팅존, 지원시설존으로 세분화해 글로벌 비즈니스존으로 조성하게 된다. 올해 설계비로 129억원을 투자하는 등 2019년까지 총 4037억원을 투입한다.


도봉면허시험장 부지 6만7420㎡는 현재 대체부지 마련 및 이전방안에 대해 관계기관과 협상중인 만큼 향후 차량기지와 통합개발을 추진해 중심업무 거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3단계는 나머지 창동역 환승주차장 부지 절반으로, KTX 노선 연장과 관련한 복합환승센터 기능을 도입하기 위해 당분간 유보지로 확보해 놓을 예정이다. 다만 장기간 토지의 효용이 떨어지는 점을 감안해 한시적으로 지역의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붐업(Boom-Up)사업에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중이다.


아울러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중앙정부와 적극 협력해 수서발 KTX노선을 창동-의정부까지 연장하고, 월계동~강남을 직결하는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중랑천 생태복원 및 공원화를 통해 강남·북을 연결하는 획기적인 교통망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시는 이렇게 창동·상계 지역의 개발이 완료되면 약 8만개의 일자리 창출효과 및 약 10조원의 경제적인 투자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KTX 연장과 동부간선도로 지하화를 통해 강남북간 교통시간이 10~20분대로 단축되면 지역가치 상승효과는 물론 잠실 일대 국제교류복합지구 개발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내다봤다.


프로젝트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국토교통부 등 중앙정부와 긴밀하게 협조하고 자치구와 공조하는 한편 다음달 시민과 공공이 함께하는 현장중심의 실행조직인 '도시재생 협력지원센터'를 열어 민·관이 함께 하는 지역 발전의 새 모델을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


박원순 시장은 "창동·상계 지역을 변두리에서 신경제중심지로 도약하는 도시재생 대표 성공 모델이자 320만 일자리·문화 광역중심지로 확실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수단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