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부처업무보고]강남에 한국판 실리콘밸리 조성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정부가 혁신경제를 이루기 위해 서울 강남 테헤란로에 창업자들과 엔젤투자자 등이 집적된 스타트업 밸리(Start-up Valley)를 조성한다. 창업기업과 투자자들을 한데 모아 미국의 실리밸리식 창업문화를 만들어 낸다는 계획이다.


창업 관련 제도를 개선해 고급 기술창업자 5000명을 양성하고 창업의 질을 높인다는 방침도 세웠다. 중소기업청(이하 중기청)은 15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5년도 업무 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기술 창업과 벤처 투자 결합한 스타트업 밸리 조성
중기청이 오는 6월 서울 강남 일대에 조성할 하이테크 창업 캠퍼스(가칭)는 기술 창업과 벤처 투자가 결합된 스타트업 밸리다. 약 1만 제곱미터(m2)의 대규모 창업 보육 공간에 창업팀 및 엔젤투자자 등이 공동으로 입주해 창업자와 투자자 사이의 화학적 결합을 촉진한다.


중기청은 최근 창업 열기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우리나라의 생계형 창업이 아닌 기회형 창업 비중(21%)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국 중 최하위권이라서 스타트업 밸리와 같은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하이테크 창업 캠퍼스에는 2017년까지 160개 팀이 입주할 예정이다. 연구개발과 민간투자 등을 통해 최대 3년간 10억원이 지원된다.


입주 기업들은 마루 180이나 디캠프 등 민간이 주도로 하는 창업 엑셀러레이터는 물론 벤처 창업 지원기관들과 국내외 민관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된다. 중기청 측은 민관 네트워크가 구축되면 미국 실리콘밸리식 창업문화가 국내에도 자리잡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급 기술창업자 양성·한국형 히든챔피언 집중 육성


창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고급 기술인력을 창업으로 유도하고 창업환경도 개선한다. 중기청은 청년, 대학생, 교수, 연구원, 기술퇴직자 등 창업자의 특성을 고려해 맞춤형 기술창업 플랫폼을 확충한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에 운영되던 창업선도대학이나 청년창업사관학교, 스마트벤처 창업학교 등의 형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학 청년창업 수요 증가에 대응해 창업선도대학은 종전 21개에서 28개로 확대하고 벤처기업과 연계한 창업인턴제도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창업인턴제도는 대학생들과 벤처기업을 매칭해 창업에 도움이 될 수 있게 지원하는 제도다.


이같은 플랫폼 확충을 통해 중기청은 창업자 당 최대 1억원 이내에서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굴과 시제품 제작, 시장 테스트 등 사업화 과정 및 회사설립 절차를 밀착 지원한다.


한국형 히든챔피언(강소기업)도 2017년까지 100개 이상 발굴해 집중 육성한다. 기존 4개 사업으로 나뉘었던 히든챔피언 육성 프로그램을 2단계(글로벌 도약→성장)로 단순화한다. 오는 3월까지 민관 합동의 히든챔피언 지원협의체도 구성한다.


이밖에도 벤처기업들에 지원하는 벤처펀드 규모도 확대한다. 중기청은 올해 지난해 보다 약 10% 증가한 2조원 규모의 벤처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벤처펀드의 과감하고 신속한 투자를 위해 운용사의 성과 및 관리보수 체계도 점검한다.


창업부터 성장, 회수, 재투자까지 단계별로 활용되는 정책목적펀드도 확충해 투자재원을 다양화하고 성장단계별 맞춤형 투자 및 회수 환경을 조성한다. 실패기업인의 도덕성을 평가하기 위한 성실실패 가이드라인도 마련해 실패한 벤처기업인들의 재도전 지원 인프라를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