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러시아 디폴트 위기 신흥국 전염 될 수 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6초

"러시아 디폴트 위기 신흥국 전염 될 수 있다" (자료:국제금융센터)
AD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러시아 중앙은행이 정책금리를 6.5% 인상하면서 그 후폭풍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급락하는 루블화를 방어하기엔 역부족이어서 러시아의 디폴트(채무 불이행)와 신흥국 금융 위기로 번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17일 국제금융센터가 발간한 '러시아 '98 년 이후 최대폭 금리인상에 대한 시장반응 및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은행은 16일 정책금리를 기존 10.5%에서 17.0%로 인상했다. 올들어 여섯번째 금리 인상이다. 이에따라 러시아 금리는 1월 5.5%에서 12월 현재 17%로 연초대비 11.5% 높아졌다.


박미정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지금과 같은 유가하락세가 지속되면 러시아외에도 베네수엘라, 브라질, 원자재 수출국 통화와 금융불안이 동시에 확대돼 신흥국 전반의 직·간접적인 영향이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금리 인상은 루블화 방어 목적이 컸다. 최근 유가가 연초대비 44.9% 급락하면서 달러화대비 루블화는 연초 32.85550에서 64.2372로 올랐다. 외환보유고는 5일 기준 5년래 최저인 4162억달러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민간 자본유출액은 2008년 1336억달러 이후 최대인 134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러시아 주가는 폭락했고 CDS프리미엄은 치솟았다. RTS 주가지수는 연초대비 50.26% 하락했다. 12월중에만 26%나 급락해 금융위기 한복판이었던 2008년 10월 이후 월간 기준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CDS프리미엄은 12월중 207bp 올라 연중 최고치(551bp)를 갈아치웠다. 외환보유고는 5년래 최저치인 4162억달러로 축소됐다.


"러시아 디폴트 위기 신흥국 전염 될 수 있다" (자료:국제금융센터)


다만 해외은행들은 이번 금리 인상 효과를 놓고 상반된 평가를 내놓고 있다. 스탠다드 뱅크는 "러시아 금융불안은 유가 외에 경제제재, 지정학적 리스크, 당국의 정책결정 결여가 혼재된 결과다"고 전제했다. 그러면서 "러시아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국민들이 대규모 예금인출을 시도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고 평가했다.


소시에테제네랄은 "과도한 금리인상은 국내 자본시장에 큰 혼란을 줄 수 있고, 러시아 투자적격등급 상실 가능성도 증가한다"고 말했다. 라보뱅크는 "극단적인 통화긴축조치가 경제에 더욱 큰 고통을 줄 수 있고, 루블화 급락이 대규모 금융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얼라이언스번스틴 자산운용은 "현 상황에서 루블화 급락을 막는 것이 우선이며 이번 결정은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말했다.


전면적인 자본통제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크레딧 스위스는 "유가와 루블화 급락으로 러시아는 탈출구가 없다"면서 "불확실성 지속으로 러시아 기업들의 디폴트 발생은 피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신흥국이 자국 통화가치 하락을 막기 위해 금리인상을 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터키는 올해 7.75%에서 12%로 금리를 올렸고 브라질은 1999년 헤알화가치를 45% 올린 바 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