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종이돈 만드는 지폐 전지 대전서 첫 일반 공개

한국조폐공사, 출고 전 모습 그대로 화폐박물관에서 전시…5만원권은 28장 한 세트, 액면가만 140만원, 페이스북 통해 전시기념 퀴즈이벤트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종이돈을 만드는 지폐 전지가 국내 처음 대전서 일반에 공개된다.


한국조폐공사는 2일 창립 63주년을 맞아 이날부터 대전시 유성구 대덕연구단지에 있는 화폐박물관에서 지금 쓰이고 있는 종이돈의 전지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지폐 전지는 화폐본부의 인쇄공정에서 제조가 끝나 낱장으로 자르기 전 여러 장의 돈이 인쇄된 지폐를 일컫는다.


일반에 선보일 전지종류는 ▲5만원권 전지(28장) ▲1만원권 전지(45장) ▲5000원권(45장) ▲1000원권(45장)이 있다.


이 지폐 전지들은 인쇄공정에서 만들어지는 제품 그대로의 상태(재단하기 직전 단계)로 관람객들에게 공개하는 것으로 일반인들이 쉽게 볼 수 없는 종이돈 제조현장을 느낄 수 있다.


화폐박물관의 희귀화폐전시장엔 미국, 말레이시아, 피지 등 외국 종이돈의 연결형 지폐도 전시한다.


한국조폐공사 관계자는 “화폐의 역사, 발전과정, 위조방지요소 등 우리나라 화폐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체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화폐박물관은 추석연휴 중 7~10일엔 문을 열지 않는다.



한국조폐공사는 지폐 전지 전시를 계기로 조폐공사 페이스북(http://facebook.com/komsco)을 통해 4개 권종 전지의 액면가총액 알아맞히기 퀴즈이벤트를 다음 달 10일까지 펼친다.


정답자에겐 추첨을 통해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기념주화 세트(은화, 황동화) ▲김연아 은퇴기념메달(백동) ▲연결형 은행권(1000원권 2장)을 준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한국조폐공사누리집(http://www.komsco.com), 화폐박물관누리집(http://museum.komsco.com)에 들어가 보거나 전화(042-870-1200)로 물어보면 된다.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