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제2의 세월호사태 막으려면 빅데이터 필요"경기硏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수원=이영규 기자] 세월호 사고와 같은 '인재(人災)형' 재난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표출되는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빅데이터 활용은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공약사항이기도 하다.


유영성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6일 '미래형 재난대응과 통합플랫폼 구축-빅데이터 프로젝트 실현에 활용 연구보고서'를 통해 미래형 정보통신 신기술인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을 적극 활용한 미래형 통합 재난관리 정보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유 연구위원은 "미래에는 자연ㆍ사회ㆍ사이버 재난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려 갑자기 큰 피해를 동반하는 재난이 빈발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는 그러면서 "미래형 재난대응 대책을 산업과 일자리 창출과 연계할 필요성도 있다"고 제안했다.

유 연구위원은 "최근 30년간 자연재난은 2배 이상 증가했고, 정보인프라 붕괴는 2014년 글로벌 위기 중 파급력 5위를 차지했다"며 "2013년 안전행정부 안전의식 조사만 봐도 국민의 상당수가 재난(26.5%)과 안전사고(50.0%)에 불안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에따라 "디지털 재난과 자연, 사회재난의 복합적 형태를 띠는 미래형 재난 대응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남 지사의 빅데이터 정책은 미래 복합형 재난 대응과 연결해 일자리 창출에 활용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내놨다.


나아가 "빅데이터 프로젝트를 재난안전관리 '빅데이터+사물인터넷+클라우드'의 '디지털 뉴딜' 정책으로 발전시키자"는 의견을 내놨다.


또 "경기도는 경기도형 미래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통합플랫폼을 구축해 31개 시ㆍ군과 산하기관이 공동 이용토록 하고, 재난안전관리 연계 빅데이터센터를 설치해 판교테크노밸리를 핵심거점으로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 등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