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콘텐츠산업, 지역간 양극화‥눈높이 맞춤 지원 '절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2초

[아시아경제 이규성 기자]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지역의 창조력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콘텐츠산업이 갈수록 중앙집중화되는 양상을 극복, 지역에 대한 발상 전환과 각 분야의 강점을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7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마련한 '지역콘텐츠산업 활성화 전략' 세미나에서 이장우 창조경제연구원장(경북대 교수)는 “창조경제에서 지역발전을 위한 ‘기회의 창’은 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며 "지역의 창조화를 위해 창업과 문화를 융합하는 지역발전 전략이 필요하며 지역의 강점과 지역민의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차별된 프로젝트를 개발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70~80년대 산업화와 90년대 정보화 이후 현재는 한국형 창조력 (K-Creative)이 등장했으며 문화콘텐츠가 그 핵심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의 콘텐츠 산업의 가치는 포스코와 LG전자의 기업가치보다 큰 94조7000억원으로 단일 산업 부문을 넘어 창조경제의 핵심성장 축이며 지역 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한 육성정책이 요구된다. 영국의 뉴캐슬의 경우 지역예술인 발굴, 창조인력 육성을 통해 황폐화된 타인강 주변을 문화예술로 지역의 재창조화시킨 사례를 눈여겨볼만 하다."


현재 콘텐츠산업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양극화가 심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이를 적극 해소하는 방안이 절실하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기업수(매출액 비중)을 살펴보면 각각 ▲ 2010년, 6만651개(87.34%) 5만1127개(12.66%) ▲ 2011년, 6만961개(87.88%) 4만9556개(12.12%) ▲ 2012년 6만273개(87.99%) 4만8683개(12.01%) 등으로 격차를 벌리고 있다. 매출액 비중의 경우 수도권이 90%를 육박할 정도로 실질적인 편중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태다. 따라서 지역 분산 및 유인 등 다각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균형발전 전략과 관련, 이병민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글로컬(글로벌+로컬)시대에 맞는 콘텐츠 육성, 발굴, 네트워킹을 통해 문화 소통을 확대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지역과 지역 연계, 산·학·연 협력, 각 기업 및 부처간 협력 등 관계망 정립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SNS(누리통신망)의 발달로 글로벌 환경이 지역과 전 세계가 소통 가능해졌으며 쌍방향 공유가 이뤄지고 있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전 지구적 유통은 로컬 단위의 콘텐츠를 전 세계로 송출하는 발신지 역할을 극대화시켰다. 이같은 문화 소통이 진행된다는 점에 주목, 지역문화 유산을 글로벌 진출 경로로 삼아야 한다."


이 교수는 프랑스의 '아스테릭스', 일본의 '유류카라' 등을 글로컬콘텐츠 성공사례로 꼽은 뒤 “우리나라에서도 춘천의 애니메이션 '구름빵', 제주의 뮤지컬 '숨비소리', 경북 청도의 애니메이션 '변신 싸움소' 등 지역특화 콘텐츠 발굴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지역콘텐츠 발전 전략으로 ▲ 공간과 지역에서의 연계(Net) ▲ 지역 콘텐츠산업 주체간 연계 활성화(Work) ▲지역 콘텐츠산업 가치사슬별 기능연계와 진보(Ing)의 강조 등을 제시했다.


서태건 부산정보산업진흥원장은 콘텐츠산업의 수도권 집중과 지역 콘텐츠 산업 생태계 현황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지역 문화콘텐츠 산업진흥을 위한 ‘눈높이 맞춤 지원’ 및 ‘지역 문화산업만을 위한 지원예산 편성’을 제안했다.


2007년 서울 디지털 단지에서 춘천으로 이전한 애니메이션 기획사 '디피에스'의 남진규 대표는 "각 지자체들이 수도권 기업 유치에 힘쓰고, 지역기업에 대한 차별을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 대표는 "여전히 지역기업을 무시하는 경향도 있다"며 "행정 역시 인프라 구축보다 인력 양성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규성 기자 pea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