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민간 시멘트와 중장비 등 5차례 수백억원대 지원
[아시아경제 박희준 외교·통일 선임기자]북한에서는 지난 13일 평양 평천구역 안산 고층 아파트 붕괴 사고 외에도 다수의 사고와 재해로 대규모 인명 피해가 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이를 통상 보도하지 않아 외부에 알려지지 않고 쉬쉬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그러나 대규모 수재는 신속히 보도해 피해 규모가 비교적 소상히 알려져 있으며 우리 정부와 민간단체는 1995년부터 2012년까지 총 1500억원대의 대북 수해지원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18일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은 과거에도 조립식공법과 인력에 의존하는 건설방식으로 건서현장에서 사고가 잦았지만 대부분 보도되지 않았다.
북한은 그러나 해마다 수해에 따른 인명피해는 보도해왔다.
그동안 북한에서 일어난 대규모 사고로는 2004년 용천역 폭발사고가 제일 먼저 꼽힌다. 북한은 4월22일 사고 발생 이틀 후인 4월24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사고 발생을 보도했다.
북한은 이어 바로 다음날 대한적십자사와 유엔에 지원을 직접 요청했다. 이에 따라 정부 차원 9억원을 포함, 남한은 648억원 상당을 북한에 지원했으며 국제사회도 2044만달러 상당을 지원했다.
북한은 또 사고 직후 ‘용천군재해대책위원회’(위원장,용천군 인민위원회 부위원장) 설치, 이후 ‘피해복구중앙지휘부’(내각 부총리), ‘도지휘부’(평북 인민위원회 위원장) 등 각급 기구를 설치했다.
북한은 사고원인에 대해서는 "부주의로 인해 발생했다"면서 간략히 보도하고 처음에는 피해규모도 "상당히 크다"고만 했을 뿐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나 4월26일과 27일 추가 보도를 통해 사망자 150여명, 부상자 1300여명, 공공건물과 산업·상업건물 30여동, 가옥 1850여 세대가 완파되고 6250여 세대가 반파되는 등 8100여세대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전했다.
북한 중앙통신 등은 남한과 국제사회의 지원을 보도했다.
사건사고와 달리 자연재해에 대해서는 북한은 해마다 지속해서 보도해왔다. 한국 정부는 이에 따라 1995년과 2005년.2006년,2007년,2010년 까지 총 5회 대북 수해 지원을 했다.
통일부에 따르면,1995년에는 대규모 수해로 120개군 520만명이 피해를 입어 이재민이 48만명 발생했다. 또 2005년에는 사망·실종자 약 150명, 이재민 30만명이 발생한 수재가 발행해 주택 약 8만채가 파괴되고 농경지 약 2만7000만 정보가 유실됐다. 당시 민간에서 200억원 상당의 대북지원을 했으며 우리 정부의 제의로 북한이 이를 받아들여 2007년 3월부터 3개월여 동안 시멘트와 쌀, 중장비 등 700억원 상당을 지원했다.
그러나 2007년에도 사망·실종자 600여명, 주택 약 2만4000여채, 농경지 33만여 정보가 피해를 입고 이재민이 약 90만명 발생하는 대규모 수해가 또 발생했다. 당시에도 우리 정부가 먼저 제의해 8월과 9~11월 사이에 시멘트와 긴급 구호물자와 중장비 등 총 374억원 상당이 지원됐다.민간에서도 227억4000만 상당의 대북 지원했다.
이후 2010년과 2011년, 2012년 등 3년 연속으로 수재가 발생해 우리 정부와 민간이 수십 억원 상당의 대북 지원을 했다.
2011년과 2012년에도 우리 정부는 각각 50억원과 100억원 상당의 라면과 의약품 등의 대북 지원 제의를 했으나 북한은 2011년은 무응답했으며, 2012년에는 거부했다. 북한은 이 때도 4억2000만원과 39억6000만원 상당의 민간 지원은 받았다.
박희준 외교·통일 선임기자 jacklon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