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채권은행, 잇따른 기업 구조조정에 건전성 '비상'

시계아이콘00분 5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이장현 기자] 최근 워크아웃과 기업 회생절차 등으로 기업구조조정 작업이 가속화되면서 은행의 경영 건전성이 악화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30일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채권은행 중심의 워크아웃(재무구조 개선약정)과 법원 주도의 기업 회생절차(법정관리) 등으로 은행의 부실채권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10조원대에 불과했던 부실채권 신규 발생액은 2008년 21조원으로 늘더니 2009년 이후 매년 평균 30조원에 이르고 있다.

신규 부실대출이 증가하는 가운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충당금 전입액과 채권 매각 규모도 커졌다. 지난해 은행의 대손비용 계상액은 11조6000억원이었는데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수준의 2배를 크게 상회했다.


당기순이익에서 대손비용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1년 101%, 2012년 116%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대손비용은 늘고 당기순이익은 줄어 대손비용 비중이 297%까지 급증했다.

부실채권 규모뿐 아니라 은행이 가진 주식 가치도 많이 떨어졌다. 보유 주식 가치가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훼손돼 은행이 손실로 인식한 손상차손은 2010년 2000억원에서 지난해 1조3000억원으로 급증했다.


그럼에도 구조조정 기업을 살리기 위한 은행의 신규 출자전환 규모는 계속 늘고 있다.


지난해 은행이 새로 출자전환한 돈은 1조2000억원으로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였다. 특히 STX와 STX조선해양 등의 출자전환이 이뤄진 올해는 1분기 출자전환 금액만 1조5000억원으로 이미 지난해 한해 수준을 넘어섰다.


한국은행은 "국내은행의 BIS 자기자본비율이 15%내외로 매우 양호하다"며 "향후 기업구조조정 추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기적인 재무부담이 은행의 경영건전성을 심각하게 저해할 것으로는 보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나 기업구조조정이 앞으로도 계속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은행의 경영건전성은 더 나빠질 수 있다.


조선ㆍ건설ㆍ해운 등 몇 년 간 취약업종으로 불리던 부문 외에 전기, 기계부문 대기업도 요주의여신 비율이 높아 구조조정 과정에서 부실채권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대기업 차주를 중심으로 자산건전성도 계속해서 저하되고 있다"고 경고하면서 "은행들이 구조조정을 원활하게 추진하도록 부실채권 시장 육성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장현 기자 insid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