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원전 최후 방호벽 '격납건물' 건전성 평가 시설 구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건전성 평가 종합 실험동 'LIFE' 구축…모의실험 등 안전성 연구

원전 최후 방호벽 '격납건물' 건전성 평가 시설 구축 격납건물 건전성 평가 종합 실험동(LIFE).
AD

[아시아경제 윤나영 기자]원자력발전소에 중대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방사성 물질의 유출을 막기 위한 마지막 방호벽인 격납건물의 건전성 연구 실증 시설이 국내 최초로 구축됐다. 중대사고란, 원전 설계시 고려되는 '설계기준사고'를 벗어나 노심이 용융되는 사고로,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같이 천재지변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이하 미래부)는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김종경)이 원전 중대사고 조건에서 격납건물의 환경을 모의 실험함으로써 안전 계통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격납건물 건전성 평가 종합 실험동 LIFE(Laboratory for Innovative mitigation threats from Fission products and Explosion)'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LIFE는 중대사고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의 모의 구현이 가능한 압력 용기(약 80㎥)가 설치된 실험 공간 및 연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래부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중대사고 대처기술 개발' 과제로 구축되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LIFE를 통해 중대사고시 격납건물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소연소를 포함한 다양한 물리 현상을 모의해 수소연소 제어, 격납건물 내 방사성 물질 거동, 여과배기 계통 성능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격납건물'은 흔히 원자력발전소를 생각할 때 떠올릴 수 있는 돔형의 콘크리트 건물로, 원전의 외벽이기 때문에 '최후 방호벽'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특히 후쿠시마 원전사고 시 수소폭발로 인한 격납건물 파손이 방사성 물질 방출로 이어져, 격납건물 건전성 확보 기술은 원자력 안전연구 분야의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원전 최후 방호벽 '격납건물' 건전성 평가 시설 구축 '격납건물 건전성 평가 실험동(LIFE)' 내부.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오는 21일 오후 정부 및 원자력 유관기관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LIFE 준공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송진호 원자력연구원 중대사고?중수로안전연구부장은 "이미 증기폭발 실험 시설인 'TROI'를 통해 국제 공동연구를 주도한 경험이 있는 등 중대사고 안전연구 분야에서 대한민국의 기술력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며 "LIFE 준공으로 국내 원전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대사고 대처기술 분야의 연구를 국제적으로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윤나영 기자 dailybe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