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옐런은 '금리인상' 이주열은 '일단신중'

시계아이콘01분 4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美 내년 금리인상 예측된 것
전문가 "투자자들 비관은 성급"
포워드가이던스 폐지는 부담 덜어


[아시아경제 이현우ㆍ박민규 기자] 주식 및 채권시장 참가자들이 한미 양국의 금리정책 변화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후보가 지난 19일 국회 청문회에서 중립적인 태도를 나타낸 가운데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금리인상 시점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을 처음 내놓으면서 투자심리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


미국 다우지수가 114포인트(0.70%) 하락한 가운데 코스피 지수도 장 개장 직후부터 하락세를 보이며 오전 9시43분 현재 1927.97을 기록 중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금리와 관련된 발표들이 시장 예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만큼 투자자들이 지나치게 시장을 비관적으로 바라볼 필요는 없다고 입을 모았다.


◆"예상된 수준…단기 충격 그칠 듯"= 19일(현지시간) 미국 FRB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옐런 의장은 채권매입 종료 후 6개월 뒤부터 금리인상이 있을 것이라 시사했다. 또 기존 양적완화 기조대로 월 650억달러인 양적완화 규모를 내달부터 550억달러로 100억달러 축소하기로 했다. 이런 기조대로라면 양적완화는 올해 말 종료되며 금리인상은 내년 상반기 중 시작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와 관련, 어느 정도 예상 범위 안에 들어있던 것인 만큼 크게 우려할 상황이 아니라는 반응이다. 윤지호 이트레이드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옐런 의장 발언은 기존 선제적 안내(포워드 가이던스)를 폐기하고 새로운 선제안을 제시함으로서 올해 안에도 혹시 금리가 올라갈 수도 있다는 시장 부담을 크게 덜어준 발언"이라며 "실업률 6.5% 달성 시 금리가 인상된다는 기존 가이던스대로 갔다면 오히려 시장이 엄청나게 요동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당분간 상승장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영원 HMC투자전략팀장은 "연준이 이렇게 자신감을 가지고 추가 양적완화 축소에 나서고 금리인상 시점까지 발표한 것은 사실 선진국들은 현재 진행 중인 중국발 경기둔화 우려나 우크라이나 사태 등 대외적 악재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황이 좋다는 말"이라고 분석했다. 도 "다만 신흥국들의 경우에는 이번 연준의 발표가 어떤 충격파로 다가올지 모르고 특히 신흥국 내에 거대한 두 나라인 중국과 러시아 시장의 문제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맞물릴 경우 우리 경제와 증시에 미칠 영향이 얼마나 커질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한동안 상승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은 기준금리 쉽게 인상하긴 어려울 것"= 이재형 동양증권 연구원은 "미 국채 금리의 영향으로 20일 국고채 금리가 올랐지만 상승폭은 제한될 것이라는 시각이 강하다"며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는 예상됐던 부분이고 금리인상 시점이 당겨진 게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단기적으로 3.53~5.60% 사이의 등락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19일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보다 0.022%포인트 내린 3.516%에 마감했다.


정경희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채권시장은 포워드가이던스 수정에 의한 미 연준의 신뢰성 하락 가능성과 실업률 전망 하향에 따라 금리 인상 시기가 빨라질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며 "국내 채권시장에도 장기물 불안 및 장기금리 상승에 영향을 줄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이 후보가 전일 미국의 선제적 금리인상 시 한국 기준금리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는 발언에 대해서도 크게 염려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는 분석이다. 최승용 토러스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이주열 후보 발언으로 미국 금리인상 시에 한국도 금리인상이 바로 될 수도 있을 거란 시각이 있겠지만 미국 금리 상승 이후에도 그렇게 쉽게 기준금리를 올리기는 힘들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신흥국 시장 내에서 한국은 현재 최선호 자산도 아니고 삼성전자, 현대차 등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고 실적도 좋지 않고 가계부채 문제도 산적했기 때문에 미국 금리 상승에 발맞춰 곧바로 금리상승을 하는 건 불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민규 기자 yushin@asiae.co.kr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