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朴정부 1년 빛바랜 재형저축…6개월째 해지 더 많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한달새 2만790계좌 또 줄어
4% 금리 7년 유지…투자 매력 떨어져


[아시아경제 조은임 기자] 박근혜 정부가 야심차게 부활시킨 재형저축이 1년만에 빛이 바랬다. 최근 6개월연속 해지 수가 가입 수보다 많아지면서 '서민 전용 저축상품'이라는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다. 투자기간이 지나치게 긴 데다 체감금리도 낮아 저축상품으로서 가치가 떨어진다는 평가 때문이다.

朴정부 1년 빛바랜 재형저축…6개월째 해지 더 많아
AD

21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1월말 국내 17개 은행의 재형저축 누적 계좌수는 167만7001개로 전달의 169만7791개보다 2만790계좌가 줄어들었다. 누적 계좌수가 줄어든다는 건 가입자보다 해지자가 더 많다는 의미다. 재형저축 계좌수는 지난 7월말 174만9403개로 정점을 찍은 이후 6개월 연속 하락추세로 매월 약 1만 계좌씩 줄어들고 있다.


전문가들은 4%대의 금리가 적용되면서 7년을 유지해야 하는 재형저축이 서민ㆍ중산층 장기저축수단으로 매력도가 떨어진다고 평가했다. 1976년부터 1995년까지 판매됐던 재형저축 상품의 경우 15∼20%의 높은 금리로 수년안에 투자한 돈의 2배는 손에 쥘 수 있었다.

김우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가계 부채율이 날로 높아지는 가운데 4%대의 이자로는 목돈을 만들기 힘들다는 사실을 가입자들이 알게 된 것"이라며 "재형저축이라고 하면 말그래도 재산을 축적할 수 있어야 하는 데 그러한 유인이 없다"고 분석했다. 이어 "앞으로 금리가 올라갈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지금 재형저축 상품의 고정금리가 높다고 볼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해지 추세는 2년뒤 변동금리가 적용되기 시작하면 더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재형저축 도입 초기 상품의 경우 3년 고정금리, 3년 이후에는 변동금리가 적용되는데 3년 가입 고객에게는 해지시에도 통상 고정금리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큰 손해가 없다는 판단에서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7월 시중은행을 독려해 7년 고정금리 상품을 출시하게 했지만, 기본금리가 3%대 에 그쳐 이 역시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현재 시중은행에서 3% 후반 대 적금이 판매되는 만큼, 굳이 7년을 의무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재형저축을 들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금융권에서는 재형저축이 서민장기저축 수단으로 제대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세제혜택'이 제공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재형저축은 지난 2012년 종료된 장기주택마련저축의 후속으로 나온 상품인데 소득공제와 같은 혜택은 사라졌다"며 "급여생활자나 적금가입 대상자의 가입을 늘리기 위해서는 세제혜택이 주효하다"고 말했다.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