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시아블로그] 이분법으로 세상 보기

시계아이콘01분 36초 소요

[아시아경제 김동선 기자]살다 보면 고민과 번뇌가 수시로 교차하는 게 다반사다. 이럴 때 세상을 둘로 나눠 생각하는 버릇이 있는데 가끔 도움이 된다. 한때 무수한 영화에 출연했던 배우 명계남씨가 우리나라 영화는 본인이 출연한 영화와 그렇지 않은 영화로 나뉜다고 농담처럼 이야기했는데 그런 식으로 세상과 사물을 발라 보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세상은 빛과 그림자, 선과 악, 말로 표현할 수 있는 것과 말로는 도저히 형용할 수 없는 일 등 모두 동전의 양면과 같다.


[아시아블로그] 이분법으로 세상 보기
AD

이런 이분법을 사람으로 확장할 수도 있다. 외모가 수려한 사람과 내면이 더 아름다운 사람, 말이 앞서는 사람과 귀가 밝은 사람, 이성이 지배하는 사람과 감성이 충만한 사람, 촉이 좋든지 아니면 둔한 사람, 칭찬으로 고래도 춤추게 하는 사람이거나 힐난으로 일관하는 사람, 자신을 낮춰 함께 높아가는 사람과 남을 짓밟아야만 올라선다고 믿는 사람, 기본적으로 타인을 믿는 사람과 불신이 가득한 사람 등.

물론 이런 구분은 사람에 대한 호불호로 이어져 편견으로 굳어버리기 십상이고 한 번 이미지가 그렇게 뇌리에 박히면 좀체 달라지지 않으니 사람에 대한 이 같은 구분은 위험한 측면도 없지 않다.


그래서 머리가 크고 나서 쭉 가져왔던 나만의 변하지 않는, 그러나 어쭙잖기 그지없는 진리(?)를 떠올린다. 내가 그 사람을 A라고 생각하면 그 사람도 나를 A라고 생각한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 법칙은 참 오묘한데, 그 사람이 나를 A가 아니라 다르게 생각한다손 치더라도 그 범위는 적어도 A'나 A" 정도이지 엉뚱하게 B나 C라고 보지 않는다. 이것은 대학 신입생 때 한 선배가 들려준 이야기인데 기막힌 '인간관계 거울론'이라며 무릎을 쳤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이분법이 극명하게 드러나면서도 인간관계의 거울론을 기대할 수 없는 집단이 있다. 바로 국회 안 정치인들이다. 6ㆍ4 지방선거가 다가오면서 여야가 전력을 가다듬고 있다. 이제 슬슬 '내 편이 아니면 적'이 되는 이분법적 정쟁이 다시 발현하고 있는 것이다. 기싸움은 이미 시작됐다.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에 대한 1심 판결 결과에 대한 여야의 입장은 극명하게 갈린다. 지난 12일 황교안 법무ㆍ서남수 교육부 장관 해임건의안이 무산된 것을 두고서도 서로에게 공세의 칼끝을 겨누고 있다.


지난 3일 임시국회 개회에 맞춰 66년 만에 여야의원들이 단체사진을 찍으며 상생의 정치를 외친 것이 무색할 정도다. 또 지난달부터 국회보에 여야 의원들이 동료 의원을 추천하는 '칭찬합시다' 코너가 생겼는데 그 또한 소속정당의 집단적 생리에 빛이 바래는 듯하다. 라인홀드 니부어가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에서 설파했듯이 합리적이고 도덕적인 개인이더라도 한 집단에 속하면 집단 이기주의에 빠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일지도 모르겠다.


굳이 이분법으로 구분하면 감히 나는 사람을 믿는 축에 속한다. 그 사람도 나를 믿길 바라는 이기적(?)인 마음 때문일 수도 있다. 믿지 않으면 그만큼 피곤해지니 그 또한 귀찮은 일이다. 그래서 '그 사람이 나를 믿게 하려면 내가 먼저 그를 믿어야 한다'는 것을 정언명령처럼 간직하고 있다. 그래서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힐 것을 알면서도 다시 한번 우리 국회를 믿어보려 한다. '나는 옳고 너는 그르다'는 아집을 버리고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국회를 기대하면서.






김동선 기자 matthe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