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가창오리 AI 확진…어디서 어떻게 왔는지 모른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위치추적기 부착 안돼…역학조사 불가능할 듯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이번에 떼죽음을 당한 가창오리가 H5N8형 조류인플루엔자(AI)로 확진 판명되면서 우리나라 AI 방역체계에 구멍이 뚫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일 "고창 동림저수지에서 수거한 야생철새(가창오리) 폐사체에 대한 검사 결과 AI(H5N8형)인 것으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다만 고병원성 여부 검사에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전북 고창과 부안에서 확진된 H5N8형과 같은 것이어서 앞으로 AI가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이 분석이다. 특히 환경부 등 관련 부처에 따르면 매년 수십만마리의 가창오리가 겨울을 나기 위해 우리나라를 찾지만 위치 추적기 부착은 전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겨울철새인 가창오리가 어디서 왔는지, 어떻게 이동하는지 파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번에 AI로 확진된 동림저수지의 가창오리에 대한 역학조사도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가창오리 AI 확진…어디서 어떻게 왔는지 모른다? ▲과거 AI 양성으로 판명됐던 철새도래지.[자료제공=환경부]
AD

AI는 고병원성으로 강력해지고 있는데 국내 방역체계는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철새에 대한 입체적 대응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가창오리는 매년 우리나라에 수십만마리가 찾아온다. 지난해 11월15일 영암호에 15만5000마리, 12월 하순에도 금강호에 15만마리가 겨울을 나기 위해 몰려들었다.


AI가 발생하면 정부는 방역체계를 가동한다. AI가 발생한 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방역본부를 꾸리고 검역과 소독을 실시한다. 이는 AI가 발생한 이후 대처하는 사후약방문에 불과하다. 이런 현재의 AI 방역체계를 개편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AI가 발병한 뒤 방역체계를 가동하는 시스템은 고병원성으로 강력해지는 AI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철새들의 이동이 잦은 곳이어서 앞으로 철새에 대한 역학조사는 물론 이동 경로 등 사전에 철저한 모니터링이 절실하다.


가창오리가 떼죽음을 당하자 환경부는 전국의 주요 철새도래지 22군데에 대한 예찰을 강화하기로 했다. 22군데 중 10곳은 과거에 AI 양성반응이 나타난 곳이다. 22군데 철새도래지는 전국적으로 분포돼 있어 이번 가창오리에서 보듯 철새들이 옮기는 고병원성 AI에서 우리나라가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환경부의 한 관계자는 "철새들의 이동은 국가와 국가는 물론 대륙과 대륙을 오가는데 아직 역학조사는 물론 철새들의 질병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기관이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환경부는 올해 국립야생동물보건연구원 설립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고병원성으로 강력해지고 있는 AI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장기 전략이 필요하고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세종=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