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GDP 성장률 2분기 연속 1%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두 분기 연속 1.1%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한 성장률은 7분기만에 3% 위로 올라섰다. 이런 분위기라면 한은이 점친 올해 성장률 전망치 2.8% 달성은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분기 GDP 성장률은 전기보다 1.1%, 전년동기보다 3.3% 높았다. 각각 0.9%, 3.2%를 예상했던 시장의 전망치를 웃도는 수준이다. 전기대비 성장률은 한은이 내다본 1.0%보다도 높다. 같은 기간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기보다 0.4%, 전년동기보다 4.2% 늘었다.

항목별로 민간소비는 비내구재와 서비스 소비가 늘면서 1.1% 증가했다. 시장의 전망을 크게 웃도는 수준은 아니지만, 2분기(0.7%)와 비교해선 증가폭이 상당히 확대됐다. 다만 재정 집행이 상반기에 집중돼 2분기 2.4%에 이르던 정부소비 증가폭은 3분기 0.1%까지 줄었다.


이 기간 수출은 일반기계와 석유화학제품을 중심으로 0.9% 감소했다. 전분기 수출 증가폭이 컸고, 추석 연휴가 끼어 영업일 수가 줄어든 데 영향을 받았다. 수입은 지적재산권 등 사용료 지급이 늘어나 0.1% 증가했다.

주목되는 건 투자 증가폭이다. 전분기 -0.2%를 보인 설비투자 증가폭은 3분기 1.2%까지 증가했고, 건설투자는 2.7%까지 확대됐다. 전기와 비교한 건설투자는 1분기 4.1%에서 2분기 3.4%, 3분기 2.7%로 점차 줄어들고 있지만, 전년 동기와 비교한 건설투자 증가폭은 8.0%에 이르러 눈길을 끌었다. 체감 경기와는 차이가 나는 수치지만, 하반기 재정효과가 사라지면 투자와 소비가 모두 크게 위축되리라던 시장의 전망은 빗나갔다.


경제활동별로 보면 전기와 비교해 제조업과 전기가스수도업, 건설업, 서비스업이 모두 성장세를 보였다. 제조업은 1.6% 증가했고, 건설업은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1.2% 성장했다.


정영택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전기대비 성장률 1.1%는 예상했던 성장 흐름의 상단에 있는 수치"라고 설명했다. 정 국장은 아울러 "3분기 수출이 줄어든 건 전분기 수출 증가폭 확대에 따라 기저효과가 나타났기 때문"이라면서 "추석 연휴가 끼어 영업일수가 줄어든 일시적인 요인도 영향을 줬다"고 덧붙였다.




박연미 기자 ch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