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민관합동조사단 21일 발표…백제보로 유속 느리고 용존산소량 줄어 초기 대응도 부족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지난해 10월 금강에서 물고기 30여만 마리가 떼죽음을 당한 이유가 밝혀졌다. 4대강사업 때문이다.
충청남도 금강물고기 집단폐사 민관 합동조사단(단장 허재영)이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전문가와 환경단체, 공무원 등 9명으로 민관 합동조사단을 꾸려 조사활동을 벌인 결과다.
물고기 폐사에 대해 환경부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충남도수산관리소가 독극물과 물고기병을 조사했으나 원인을 찾을 수 없었다.
하지만 조사단은 물고기가 떼죽음을 시작한 백제보 상류 3~5km 지점 부근에서 어른 물고기들이 죽고 많은 물고기들이 물 위로 떠올라 뻐끔거리는 행동을 한 것에 주목했다. 이곳이 부영양화의 영향에 따른 조류 번식 등의 영향이 많은 지역이기 때문이다.
조사단은 21일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물고기 폐사가 시작된 곳은 4대강(금강) 사업 이후 유속 변화로 유기물 퇴적이 많고 용존산소가 줄어든 곳”이라고 밝혔다.
조사단이 백제보와 백제보 상류 7km구간에 대한 용존산소의 수심별 주·야간 차이를 조사한 결과 수심이 깊어질수록 용존산소가 떨어지고 밤엔 용존산소가 더 줄어든 현상을 관찰했다.
하상 퇴적물 분석결과에서도 유기성분이 백제보 부근에서부터 늘고 있는 게 확인됐다. 집단폐사 때 퇴적유기물의 분해로 이곳에서 용존산소가 급격히 줄어 용존산소
부족으로 떼죽음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했다.
허재영 단장은 “정부기관이 물고기 폐사 뒤 시체를 수거하는 일에 집중하고 시체가 떠내려가는 것을 ㅁ막지 않아 백제보 하류에서 많은 물고기 시체가 썩으면서 산소를 부족하게 만들어 더 많은 물고기들이 죽게 됐다”고 말했다.
물고기 떼죽음에 대한 정부 기관의 대응도 문제로 지적됐다. 허 단장은 “폐사초기 물고기사체 수거에만 나서고 물고기사체가 퍼지는 것을 막지 않아 사고수역과 규모가 늘었다”며 “2차 사고를 막을 수 있는 조치가 필요했으나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환경부의 ‘수질오염사고 예방·방제 매뉴얼(2009)’엔 1000마리 이상의 물고기가 죽으면 대형사고로 분류되지만 대형사고에 알맞은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는 것.
허 단장은 “물이 흘러갔다면 이런 큰 일은 생기지 않았을 것”이라며 “정부기관이 원인을 정확히 찾아 다시는 이런 일이 생기지 않게 해달라는 뜻에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고 말했다.
허 단장은 또 “대형보시설에 따른 유속감소와 서식환경 변화 영향을 줄이고 유기오염물질 퇴적을 줄여 금강에서 용존산소가 높아질 수 있게 수문을 여는 등 합리적 보 운영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