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웨딩부케의 유래 "'풍요의 상징'으로 꽃 대신 '이것' 줬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28초

웨딩부케의 유래 "'풍요의 상징'으로 꽃 대신 '이것' 줬다" ▲웨딩부케의 유래
AD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웨딩부케의 유래'가 네티즌들 사이에서 화제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웨딩부케의 유래'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부케는 결혼식 때 신부가 손에 쥐는 작은 꽃다발을 의미한다. 라틴어로 '작은 숲(bosquet)'이라는 단어에서 비롯됐으며 프랑스어로 다발 또는 묶음(bouquet)이라는 뜻으로 불리게 됐다.


웨딩부케의 유래는 기원전 3000년경 이집트에서 비롯됐다. 고대의 왕들은 권력을 나타내기 위해 풍요를 상징하는 곡물 다발을 부케로 사용했다. 중세부터 부케의 소재가 꽃으로 바뀌면서 사랑하는 여자에게 청혼하는 용도로 쓰이기 시작했다. 사랑하는 여자에게 구애를 하기 위해 들판에 핀 꽃을 꺾어 다발로 들고 가던 것에서 지금의 부케가 유래했다.


부케를 받은 여자는 남자의 구애에 대한 허락의 표시로 꽃묶음 중 한 송이를 뽑아 남자의 가슴에 달아 주었는데 이것에서 부토니아가 생겨났다. 부토니아는 남성의 턱시도 좌측 상단에 꽂는 꽃을 말한다.


'웨딩부케의 유래'를 접한 네티즌들은 "웨딩부케, 나도 받아보고 싶다", "웨딩부케에 그런 유래가 있었는지 몰랐다", "옛날에는 웨딩부케가 곡물 다발이었다니 재밌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이슈팀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