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비상등 켜진 현대기아차…美서 4년여만에 두자릿수 감소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현대기아자동차의 월간 미국시장 판매량이 4년여 만에 처음으로 전년 대비 두 자릿수 감소세로 돌아섰다. 올 들어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던 미국 자동차 시장이 잠시 주춤한 가운데 국내 노조의 파업 및 특근 거부에 따른 생산차질, 재고 부족 등이 겹쳐 9월 판매가 부진했던 탓이다. 특히 기아차의 감소폭이 두드러지며 현대기아차의 1~9월 누적 판매량도 다시 마이너스 성장으로 전환했다.


2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현대기아차는 9월 한 달간 전년 동월 대비 13.9% 감소한 9만3105대를 판매했다. 미국시장에서 월 10만대선이 붕괴된 것은 올해 2월 이후 7개월 만이다.

지난달 현대기아차의 감소폭을 웃도는 업체는 미쓰비시(-16.7%), 볼보(-15.9%)에 불과했다. 현대기아차의 월간 판매량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은 2009년 8월(-15%) 이후 처음이다. 당시 글로벌 금융위기 등으로 시장 침체가 이어지며 신차 수요는 21% 감소했다.


브랜드별로는 현대차가 전년 대비 8.2% 감소한 5만5102대, 기아차가 21.0% 줄어든 3만8003대를 기록했다. 특히 기아차는 미국에서 판매 중인 완성차 브랜드들을 통틀어 가장 큰 감소폭을 나타냈다.

현대기아차의 9월 시장점유율은 8.2%로 전년 동월 대비 0.9%포인트 떨어지고 전월 대비 0.3%포인트 올랐다. 브랜드별로는 현대차가 4.8%, 기아차가 3.3%를 기록했다.
기아차 관계자는 "8월에 생산차질을 빚었던 영향이 가장 크게 미쳤다"며 "기아차의 판매량이 현대차보다 더 떨어진 이유는 아무래도 국내생산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와 기아차가 지난달 국내공장에서 생산해 해외로 수출하는 물량은 전년 대비 각각 26.5%, 21.1% 감소했다. 노조의 파업과 특근 거부에 따른 생산차질의 영향이 컸다. 이에 따라 주요시장인 미국에서 평균재고일수 역시 9월 기준 48일로 업계 평균(54일)을 밑돌았다. 같은 기간 GM은 64일, 폴크스바겐 50일, 포드 68일 등이다.


올 들어 상승세를 이어가던 미국 신차 판매량이 지난달 주춤한 영향도 컸다. 9월 미국 신차 판매량은 113만7206대로 전년 동기 대비 4.4% 줄었다. 이에 따라 현대기아차뿐 아니라 GM, 도요타, 폴크스바겐도 각각 11.0%, 4.3%, 6.4%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BMW와 다임러는 각 8.3%, 5.7% 신장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기아차 쏘울이 이달부터 현지에 본격 판매되는 등 주력 차종 마케팅을 강화할 예정이어서 판매회복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기아차의 올해 누적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0% 감소한 96만4601대로 집계됐다. 지난 3~7월 마이너스 신장을 기록해온 현대기아차의 누적판매는 8월 0.6% 증가로 반등했으나 다시 감소세로 전환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