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국 최고로 꼽힌 충남도 대표 융·복합사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물 통합관리, 안전행정부 ‘지방3.0’ 선도과제로 뽑혀…물 관련 4개 과와 유관기관 전담팀 꾸려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충남도의 행정혁신 대표사업 중 하나인 ‘물 통합관리를 통한 융·복합행정 추진’이 안전행정부의 ‘지방3.0’ 선도과제에 뽑혀 전국적으로 주목 받고 있다.

22일 충남도에 따르면 물 통합관리사업은 의사결정체계 일원화로 합리적 물 관리방안을 마련, 빠른 대응체계 구축과 안정적 수자원 확보 등을 위해 추진 되고 있다.

물 관리는 수량분야 생활용수업무는 수질관리과가, 농업용수 농촌개발과·공업용수 투자입지과·하천관리는 치수방재과 등이 맡아왔다.

또 금강 등 4대 수계 하천 수질관리는 수질관리과가, 농업용저수지 수질관리는 농촌개발과가, 농약·비료·축산분뇨 등 오염원관리는 친환경농산과·축산과·환경관리가 맡으면서 관리조직 다원화와 파트너십 부재 등을 겪었다.

중앙부처 또한 수자원 장기종합계획(용수수급계획)과 치수계획은 국토교통부가, 4대강 물 환경 관리계획과 수도종합계획·상수도계획 등은 환경부가, 농업용수계획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소하천정비계획은 소방방재청이 추진하고 있다.

이런 문제를 풀기위한 물 통합관리사업은 지난 1월 물 통합관리 전담(TF)팀을 꾸리고 치수방재과와 친환경농산과 등 8개 관련부서로 협의회를 만들면서 가속이 붙었다.

충남도는 또 전문가와 비정부기구(NGO),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명으로 물 관리정책협의회도 만들었다.

충남도는 이를 위해 ▲물 정책사업 발굴 ▲오염원별 통합·집중 수질개선사업 추진 ▲물 관련 유사 및 중복사업 검토 및 사업조정 ▲충남 용수 수요 전망 및 공급대책 분석 ▲충청남도 지하수 관리계획 수립(2014∼2023년) ▲물 통합관리 정보시스템 구축·운영 등을 추진했다.

또 ▲도랑 살리기 범 도민운동 추진 ▲수자원 종합계획 수립 ▲삽교호 수질 개선 대책 마련 ▲물 관리 실무자들의 자발적 연구모임인 ‘물푸레’ 구성·운영에도 힘써왔다.


남궁영 충남도 기획관리실장은 “부서별로 물 관리업무를 제각각 하면서 사업중복투자에 따른 낭비요인이 있었던 게 사실”이라며 “선택·집중투자에 따른 시너지효과, 사업추진 효율성, 각종 물 문제에 대한 빠른 대처 등의 효과가 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