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특별계획구역 용산터미널… “난개발 막고 속도낸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0초

서울시,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대상지+특별계획구역’ 지정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용산관광버스터미널 개발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 서울시가 이곳에 총 2300여실 규모의 국내 최대 관광호텔 건립을 허용한 이후 다시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한 영향이다.


4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시는 최근 용산구 한강로3가 40-969일대 1만8953㎡의 용산관광버스터미널 터를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했다. 지금껏 여객자동차터미널로 지정됐던 도시계획시설 용도를 폐기한 것이다. 부지 중 3791㎡는 공영차고지로 전환됐다.

1만㎡가 훌쩍 넘는 대형 개발계획인만큼 난개발 방지를 위해 특별계획구역으로 묶은 뒤 사업속도를 높이려는 서울시의 정책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곳은 3년 전 도시계획시설 변경 우선협상지역으로 전환된 후 개발 여력이 커지며 가이드라인에서 벗어난 소규모 개발 세력이 난입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에 시는 사업구역을 묶어둔 뒤 향후 시행사인 서부티엔디에 그대로 넘기겠다는 복안이다. 앞서 서울시가 신촌로터리 일대 6개 지구와 6호선 돌곶이역 인근 석관지구 중 일부 사업지를 시행사 선정에 앞서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이에 1만4797㎡ 규모의 땅에 지하5~지상35층짜리 연면적 2만238㎡ 규모의 관광호텔(그랜드머큐어ㆍ이비스ㆍ노보텔) 3개동 건립사업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현재 계획상으로는 착공이 2014년 5월이며, 준공과 호텔 운영은 2017년 상반기다. 호텔 3곳의 객실 수는 총 2307실로 부대시설과 판매시설도 계획됐다.

대규모 개발인만큼 공공 기여물량이 많다. 전체면적의 35%가 공공기여로 제공된다. 토지 6175㎡와 건물 6226㎡에 이른다. 금액으로 따지면 1062억원어치에 이른다. 이중 424억원 규모의 마을공동체 지원센터 및 산업지원센터를 인근 원효상가 1~3층에 마련하기로 했다. 마을공동체 지원센터에는 구립어린이집을 비롯해 문화체육센터, 도서관 등이 들어선다. 산업지원센터에는 애프터서비스(AS) 지원센터 등이 계획돼 있다.


또 교통시설부지 3791㎡도 서울시에 기부채납했다. 주변 개발에 따른 교통수요에 대비, 주차장이나 환승센터 등의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이와 함께 용산역과 배후지를 연결하는 통로를 만들고 공원 역할을 할 자연친화적인 공개공지도 마련할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동차정류장이었던 부지를 대규모 호텔로 바꾸는 과정에서 불거질 수 있는 난개발 여지나 개발세력 진입을 사전 차단하기 위해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한 것"이라며, "사전협상에 따라 공공과 민간간의 의견이 조율된 만큼 좀 더 논의를 거쳐 높이와 객실 규모 등의 세부사항을 확정해 개발에 나설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이번 사업 시행을 맡은 서부티엔디는 사업비를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 부동산펀드를 통해 호텔 1개동을 2560억원에 선매각하기도 했다. 완공 후 90개월 내 다시 매입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하면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았다.


한편 서울시가 특혜시비로 논의가 어려운 1만㎡ 이상 대규모 용지에 대해 공공과 민간의 합의를 바탕으로 개발하도록 결정한 부지는 이곳 외에 2012년 10월 강동구 고덕동의 서울승합차고지와 경의선 홍대입구역 철도부지가 있다

특별계획구역 용산터미널… “난개발 막고 속도낸다” 향후 2300여실 규모의 호텔 3개동이 들어설 용산구 한강로에 위치한 용산관광버스터미널 /
AD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