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독일 정부 원전 제로 목표 탄력 받았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3초

신재생에너지 공급 증가…원전 채산성 악화·가동중단 증가

[아시아경제 백우진 기자]독일 정부의 ‘원전 제로’ 정책이 탄력을 얻고 있다.


독일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증가하면서 원전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낮아지고 있다고 최근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다.

원전업체 RWE의 경우 상반기에 뮌헨 인근 원전의 가동을 31차례 중단했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18차례 가동이 중단됐다. 가동중단은 대개 한 번에 4시간 동안 이뤄진다.


원전 가동중단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비롯해 전력 공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도매전력 단가가 하락한 데 대응한 조치다. UBS에 따르면 도매전력 단가가 30유로(한화 약 4만4300원) 밑으로 떨어지면 원자력발전소는 채산을 맞추지 못한다.

6월에 도매전력이 30유로 아래에서 거래된 시간은 전체의 50%로 높아졌다. 이 비율은 2007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도매전력 단가 하락은 RWE와 이온 등 독일 원전 업체들의 채산성 악화로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독일 전력공급에서 신재생에너지는 22%, 원전은 16%를 차지했다. 독일 정부는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35%로 키우고 원전 가동을 전면 중단한다는 목표를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지원에 5500억유로(한화 약 812조4000억원)를 쏟아붓기로 했다.


원전 제로 정책에 대해 독일 국민들은 탄탄한 지지를 보내고 있다. 4월에 이뤄진 슈테른 매거진의 설문조사 결과 59%가 탈 원전에 찬성했다. 지지율이 1년 전의 54%에 비해 5%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백우진 기자 cobalt10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