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종도서관 운영, 비영리법인화 '철회'..원안대로 국가 직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아시아경제 이규성 기자]책임운영기관 지정 논란을 빚은 국립세종도서관의 비영리법인화가 최종 철회됐다.


안전행정부는 3일 국립세종도서관 운영과 관련, 당초 원안대로 국립중앙도서관 분관형태로 국가가 직접 운영하는 방안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도 소속을 변경하지 않기로 했다. 현재 위원회는 대통령 소속이다.

지난달 초 안행부가 세종도서관 책임운영기관 지정 방침을 밝히자 도서관단체 및 사서들의 반발이 이어지면서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한국도서관협회 등 도서관단체 및 학생, 교수들은 지난 17일 반대명성을 발표한데 이어 19, 21, 22일 정부종합청사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기도 했다. 또한 도서관단체들은 '국립세종도서관의 책임운영기관 저지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 구성하는 등 수위를 높이며 반발해 왔다.

그러나 이번에 안행부가 세종도서관 책임운영기관 방침을 철회함에 따라 논란이 마무리되는 분위기다.


한국도서관협회와 한국사서협회 등 20여개 단체로 구성된 국립세종도서관 책임운영기관저지 공동대책위 윤희윤 위원장(대구대 교수)은 "세종도서관의 국가 직영은 당연한 결정으로 도서관계의 많은 우려에 대해 정부가 귀 기울여 준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이번 일을 계기로 도서관 종사자들이 더욱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도서관 발전을 위해 힘을 모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사서들도 철회 입장을 환영했다. 정옥영 한국사서협회장은 "국립세종도서관의 책임운영기관 지정 검토가 철회되고 원안대로 직영하게 돼 다행"이라며 "사서들이 단결해 이룩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정 회장은 또 "사서들은 앞으로도 한 마음으로 도서관 본연의 기능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자"고 덧붙였다.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는 "세종도서관이 국립중앙도서관 분관으로 국가 직영이 확정된 만큼 정책 도서관으로서의 역할과 대국민서비스 질을 높여 나가는데 더욱 충실할 것"이라고 환영을 표했다.


국립세종도서관은 부지 2만9817㎡, 건축 연면적 2만1077㎡의 지하 2∼지상 4층 건물로 지난 2009년 1월 착공해 오는 10월 개관 예정이다. 세종시 특별법 및 도서관법에 따르면 세종도서관은 국립중앙도서관 분관 형태로 국회도서관(국회의원 입법활동 지원)이나 법원도서관(판사의 재판업무 지원)처럼 공무원의 정책수립 지원을 위한 정책도서관 기능(70%)과 세종시민의 독서진흥, 문화활동을 위한 공공도서관 기능(30%)을 수행하게 된다.


총 사업비 1015억원을 들여 세종시 어진동에 건립되는 세종도서관은 부지 2만9817㎡, 건축 연면적 2만1077㎡에 지하 2층, 지상 4층 규모로 10만권의 초기 장서와 연속간행물 1000종, 멀티미디어 1만여점의 자료가 비치될 예정이다.


한편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오는 10일 세종시 현지에서 국립세종도서관 준공식을 가질 예정이다.



이규성 기자 peac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