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저詩]고운기의 '다시 여자 K'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9초

저물 무렵/중환자실로 엄마가 오고 언니가 오고 동생이 오고/고모와 고모부가 오고//약속하지 않았는데도 모인 식구들을 한번 둘러보더니/조용히 눈을 감았단다//통증이 심한 쪽 암이라는데/발견되고 석 달 병원에 누운 지 한 달/소리 한번 치지 않고 도란도란 옛 이야기 나누다/엄마 손을 잡고 잠들곤 했단다//제 아버지가 죽었을 때 그 나이/남자 하나 옆에 두지 않고
쉰한 살의 여자가 갔다//...... 집에서 치른 아버지의 장례식/나는 사흘 동안 보일러의 연탄 가는 일을 맡았었다/한 겨울/단 한 번 불을 꺼트리지 않았었다/한 생애 이 일 맡아 했어도 좋았을 것을......//장례 마친 그 날도 그냥 조용히 웃고/말 한 마디 없더니//나는 희미한 미소만 기억할 뿐 오래 헤어졌다 겨우 만나는 영안실 사진 속의 여자 K.

[아,저詩]고운기의 '다시 여자 K'
AD


고운기의 '다시 여자 K'


■ 앞의 시 '여자 K'를 읽지 않았다면, 이 시는 너무 담담했을지도 모른다. 고운기는 거의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귀만 열어두고 있을 뿐이다. 낯선 장례식장에서 말이다. 식구들은 저마다 한 마디씩 한다. 고인에 대한 이야기들을 조근조근 늘어놓으며 애통해 한다. 통증이 심한 쪽 암을 앓았던 여인. 엄마 손을 잡고 잠들다가 쉰 한 살의 독신녀가 갔다. 나는 아버지가 돌아갔던 날을 떠올린다. 그 겨울 장례식장에서 보일러 연탄불만 갈았던 기억. 저승가는 길을 따뜻하게 데워주는 그 일을, 이 여인의 죽음 앞에서 '한 생애 이 일 맡아 했어도 좋았을 것을'이라고 말한다. 오래 헤어졌다 겨우 영안실의 사진으로 만난, 그 을지로 여고생 K. 말들의 홍수 속에, 감정의 낭비 속에, 요즘도 이런 천연기념물같은 아름다운 사랑이 있는가. 이런 잊지못할 절창이 있는가.






빈섬 이상국 편집부장ㆍ시인 isomis@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