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장에서]정부-지자체 싸움에 등터진 반구대 암각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현장에서]정부-지자체 싸움에 등터진 반구대 암각화
AD

[울산=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신석기 중후반께 고래·호랑이 등 짐승그림이 새겨진 울산 '반구대 암각화'의 보존방안을 두고 문화재청과 울산시의 공방이 거세지고 있다. 11일 문화재청이 주관한 반구대 현장답사에서도 이 같은 갈등이 노출됐다. 지난 1971년에 처음 발견돼 국보로까지 지정된 이 암각화는 그동안 어떻게 보존하느냐를 놓고 두 기관 간에 이견을 보여 왔다.


이번 현장답사는 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협력해 해결해 보자는 의미에서 마련됐다. 그러나 결국 서로의 이견만을 확인했을 뿐, 협상테이블을 만드는 데에는 한계를 보였다. 예정에 없던 박맹우 울산시장의 등장으로 분위기는 더욱 얼어붙었다. 그는 "문화재청이 울산시민의 식수 문제를 제쳐두고 시가 반구대 암각화 보존에는 관심이 없는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울산시는 '생태제방'을, 문화재청은 '수위조절'안을 주장하며 제각각 다른 데이터와 분석결과를 내놓고 있다. 상대측의 주장에 대한 반론이 또 다른 반론을 낳는 식이다. 울산시는 암각화 인근 사연댐의 수위를 낮춰봤자 홍수시 유속이 빨라질 뿐더러 암각화를 지킬 수 없다는 '수위조절 무용론'을 내놨다. 문화재청은 "울산시가 필요한 식수량보다 더 많은 요구를 하고 있다"며 '지역이기주의'라는 식으로 맞섰다. 또 제방건설을 통한 방법은 세계유산등재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주장이다. 결국 답사는 협상의지는 사라지고 갈등만 더 부각된 꼴로 마무리됐다.


이처럼 정부-지자체의 '고래싸움'에 신석기 시대 사냥미술의 걸작으로 평가되는 반구대 암각화의 고래는 지워지고 있다. 지난 10여년간 양측의 보존방법에 대한 이견으로 암각화 손상률은 현재 24%에 이르는 지경이다. 울주군 대곡리 사연댐에서 배로 10분 거리에 있는 반구대 암각화는 셰일 암석 가로 10m, 세로 4m 크기에 300여점의 고래, 사슴, 호랑이, 토끼 등 온갖 물뭍짐승이 새겨져 있다.


문화재 보존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는 곳은 비단 반구대 암각화뿐만이 아니다. 서울 사대문 안에서 유일하게 도룡뇽이 서식하는 부암동 백사실 계곡도 최근 종로구가 정비계획을 발표하면서 환경파괴 논란이 일고 있다. 환경단체에서는 인위적으로 터를 파고 물길을 대는 복원방식이 환경을 훼손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두꺼비 서식지'로 유명한 청주 구룡산 일대도 전원주택 건립 계획이 알려지면서 도마위에 올랐다. 사유지이기 때문에 개발에 문제없다는 입장과 두꺼비 공원과 연결되는 생태통로가 훼손될 위험에 있다는 반대 입장이 대립하고 있다. 이런 갈등을 어떻게 풀어가야 할까? 어려운 문제지만 차근차근 풀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절차와 기준에 대한 논의부터 먼저 시작해야 할 것이다.




울산=오진희 기자 valer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