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형마트 "서울시, 51개 판매품목 제한 철회? 눈가리고 아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100% 철회한 게 아니다. 한 마디로 '눈 가리고 아웅'이다. 신규 점포 중 분쟁이 일어나는 매장에 대해서 판매품목 제한을 두겠다는 건데 현재 분쟁이 일어나지 않는 지역이 어디 있나. 결국 모든 신규 매장이 판매품목 제한에 포함될 수 있다는 얘기다."


A대형마트 관계자는 서울시가 8일 발표한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 특정품목 판매제한 권고정책'에 대해 "기존 입장과 전혀 달라진 게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서울시가 51개 생필품을 대형마트에서 팔지 못하게 하겠다는 기존 방침에서 한발 물러났지만 주요 대형마트들은 전혀 만족스럽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이미 출점한 대형마트에 대해서만 판매 품목 제한을 두지 않는다는 것이지 신규 출점하는 대형마트에 대해서는 여전히 51개 생필품 판매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대형마트들은 "기존 서울시 입장과 달라진 게 하나도 없다"고 입을 모았다.


이날 서울시가 발표한 안에 따르면 서울시는 앞으로 새로 출점하는 대형마트와 기존 상권의 분쟁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대형마트에 판매 제한 품목을 정한다. 이미 출점한 대형마트에 대해서는 별도의 판매 품목 제한을 두지 않기로 했다. 일각에서는 이 부분을 두고 서울시가 한 발 물러서 대형마트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해줬다고 평가하고 있지만 당사자인 대형마트들은 "전혀 개선된 것이 없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B대형마트 관계자는 "지금 분위기는 신규 점포를 낸다고 하면 없던 분쟁도 생기는 상황"이라면서 "이렇게 되면 사실상 모든 신규 점포가 51개 판매 품목 제한에 걸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기존 점포에 대해서는 제외한다고 한 것은 일종의 '보여주기식' 발표"라며 "일단 대형마트와 전통시장 사이에서 이슈가 민감해 시끄러우니 일단 여지만 남겨놓은 것으로 내용이 전혀 진일보한 게 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서울시가 전통시장을 살리는 데에 있어 여전히 대형마트 억누르기만으로 시장을 살리려고 하는 구태의연한 모습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도 있다.


C대형마트 관계자는 "정부나 지자체에서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방법은 생각하지 않고 여전히 대형마트를 누르는 쪽으로의 방안만 생각하고 있다"며 "근본적으로는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내놓지 못하고 서둘러 일단락 맺으려는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 만족할 만한 수준의 해결방법이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이번 서울시 발표로 대형마트에서의 51개 판매품목 제한이 이뤄질 경우 결국 불편을 겪는 쪽은 소비자들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업계 관계자는 "고등어는 전통시장에서 사고 가공식품은 마트에서 사라게 말이 되느냐"라며 "누가 장을 따로따로 나눠서 사나. 영락없는 탁상행정"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귀찮아서 아예 장을 보지 않게 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며 "이렇게 되면 소비 자체가 침체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