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캠코, 공유재산 첫 위탁개발.. "방치건물을 공공기관 청사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공유재산 위탁개발을 통해 15년 간 도심에 방치돼 있던 건물을 공공기관 청사로 리모델링했다.


캠코와 광주광역시 남구는 8일 장영철 캠코 사장, 강운태 광주광역시장, 장병완 국회의원, 조호권 시의회 의장과 지역주민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남구종합청사 개청식을 실시했다.

공유재산 위탁개발은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토지나 건물에 캠코가 개발사업비를 조달해 신축이나 리모델링을 실시 후 장기간에 걸쳐 임대수익을 회수해 조달자금을 회수하는 방식이다. 지방자치단체는 초기예산 부담 없이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건물을 마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캠코는 공유재산 위탁개발 사업방식으로 총 사업비 390억원을 투입해 공사가 중단돼 15년간 방치되던 옛 화니백화점 건물을 리모델링했다. 건물은 지하 6층, 지상 9층, 연면적 50,132.64㎡ 규모의 공공청사로 재탄생됐으며, 완공 후 재산가액도 105억원에서 478억원으로 4.5배가 증가했다.

준공된 남구청사는 지하 1층과 지상 1층 일부, 2~4층에 임대수익을 위한 상가·편의시설이, 나머지 구역에는 남구청과 5층에 보건소, 9층에 구의회가 입주한다. 옥상은 작은 정원으로 꾸며 주민에게 개방할 예정이다.


캠코의 이번 위탁개발방식은 도심지 내 장기 미준공 상태로 방치된 건물을 매입해 청사로 개발?활용한 우수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도시미관 개선은 물론 사회적 문제가 돼 왔던 청소년 탈선 및 범죄ㆍ안전사고도 예방하는 개발방식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장영철 사장은 이날 행사에서 "그간 나라키움 저동빌딩, 나라키움 대전센터 등 국유지 위탁개발사업 성공의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공유재산을 위탁 개발한 사업모델의 첫 사례"라면서 "지방자치단체의 수입 증대, 지역경제 활성화 등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