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산림일자리 29만개로 늘어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신원섭 산림청장, ‘산림일자리 종합대책’ 발표…나무의사 등 장기 전문직종 늘리고 산업경쟁력 키워

산림일자리 29만개로 늘어난다 갈수록 인기 일자리인 '숲 해설사'가 나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정부가 산림일자리를 29만개로 늘린다.

신원섭 산림청장은 27일 정부대전청사에서 기자브리핑을 갖고 앞으로 5년간 7조7000여억 원을 들여 산림분야에서 3만5000여개의 일자리를 만드는 것을 뼈대로 한 ‘일자리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2017년이면 산림분야 일자리가 29만여 개로 는다.


산림청은 이 기간 중 산림탄소전문가, 수목원전문가, 나무의사 등 고급일자리 1200여개를 비롯해 청·장년을 위한 전문일자리 2만8000여개를 만들 계획이다.

산림산업 경쟁력 강화를 통한 인력수요도 는다. 단기임산물부문에선 임산물 재배·가공·유통업 투자를 늘려 1만3000여명의 일자리를 만든다.


산림일자리 29만개로 늘어난다 숲 가꾸기 종사자들이 베어낸 나무를 옮기고 있다.


목재산업단지 조성지원, 목재소비운동 등으로 목재관련산업을 키워 일자리 6000여개를 더 만드는 계획도 잡혀있다. 기업의 외국조림을 도와 현지의 일자리도 늘린다.


산림자원관리·보전을 위한 전문일자리도 5000여개 생긴다. 이에 따라 ▲나무벌채·수집 전문인력 ▲임업기계 오퍼레이터 ▲산림유전자원 수집·평가단 등이 이 분야 대표적 직종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현재 15%인 목재자급률을 2017년까지 21%로 높이는 과정에서도 벌채·수집인력 4300여명이 는다.


산림서비스분야에선 2000여개의 일자리가 생긴다. 백두대간산림치유단지, 백두대간수목원, 국립중앙수목원 완공에 따른 새 일터가 생기고 국·공립수목장림 확대에 따른 일자리도 는다.


산림치유와 교육분야 전문가(산림치유지도사, 유아숲지도사)의 활동영역도 넓어져 관련채용이 늘게 된다. 산불방지지도사, 산사태현장예방단, 산행안전지원대 등의 분야에서도 일자리가 더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해마다 취약계층에 주어지는 3만5000여 산림분야 단기일자리는 산불전문예방진화대(1만2000명), 산림서비스도우미(4000명) 등 수요가 느는 분야를 중심으로 5년 뒤엔 4만2000여개로 일자리가 불어난다.

산림일자리 29만개로 늘어난다 유아 숲지도사가 어린이들에게 숲을 안내하고 있다.


산림청은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정책도 펼친다. 1곳인 산림분야 특성화고교가 3곳으로 늘고 산림전공자들의 취업을 위한 재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된다.


단기일자리 근로자를 대상으로 현장기술교육을 강화하고 취약계층 고용확대를 위한 산림형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도 활성화된다.


산림비즈니스 창업지원체계가 갖춰지고 산촌주민 고용지원을 위한 지역산림비즈니스모델도 개발된다. 산림분야 고용박람회, 산림일자리정보망 등 온·오프라인을 통한 구인·구직자 연결서비스가 이뤄진다.


신 청장은 “이를 위해 ‘산림산업 고용촉진 및 인력양성에 관한 법’을 만들고 일자리서비스 전담조직을 만드는 등 고용창출을 위한 제도적 바탕도 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 청장은 또 “산림은 성장잠재력이 큰 자원으로 산림관련산업이 더 발전하고 산림복지수요도 늘 것”이라며 “숲이 국민의 행복한 일터이자 쉼터가 될 수 있게 온힘을 쏟겠다”고 덧붙였다.

산림일자리 29만개로 늘어난다 나무에 물을 뿌리고 있는 산불보호감시원들




왕성상 기자 wss404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