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스마트폰으로 한약재 기원 확인 하세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한의학硏, 중국·일본·대만 등 한약사용 국가 약재 모아 ‘한약기원사전 2013’ 펴내

스마트폰으로 한약재 기원 확인 하세요 '한약기원사전 2013' 의 스크린샷.
AD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동북아 각국에서 법적으로 관리되는 모든 한약재의 기원, 약명 등 한약재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쉽게 검색할 수 있게 됐다.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최승훈, 이하 한의학연)은 스마트폰 등에서 한약재의 기원, 주요 약용자원의 약명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한약기원사전 2013’의 업데이트를 마치고 이를 일반국민들에게 무료배포 한다고 19일 밝혔다.

업데이트된 ‘한약기원사전 2013’은 2012년 2월 첫 배포되고 1년 만에 내용을 고치고 더한 것이다.


‘한약기원사전 2013’은 우리나라를 비롯, 한약재를 주로 쓰는 중국, 일본, 대만 공정서(약전)에 실린 한약(생약)의 기원정보를 담았다.

여기에 동북아 여러 나라에서 한약재로 쓰는 약용자원 이름, 학명, 영문 생약명과 라틴어 생약명, 약용부위, 제법 등의 내용도 들어갔다. 표제어기준으로 1년 전 1877건에서 2138건으로 늘었다.


‘한약기원사전 2013’엔 한자로 된 약명은 물론 약용자원(식물·동물) 이름만으로도 검색할 수 있게 해 편의성을 강화했다.


특히 검색결과에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 나라별 공정서 내용을 한꺼번에 보여줘 국가별 한약재 기원규정 차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이제까지 인터넷포털 등에서 한약재이름을 검색할 경우 잘못된 정보임에도 그 진위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으나 앞으로 ‘한약기원사전 2013’을 통해 각국 현행 공정서의 정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사전은 단독으로 작동되는 앱이 아닌, 별도의 사전파일로 작동된다. 사전기능을 지원하는 앱을 내려받아 설치하고 ‘한약기원사전'파일을 스마트폰에 복사한 뒤 설치하면 통신환경과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든 쓸 수 있다.


‘한약기원사전 2013’은 한국한의학연구원 웹사이트 공지사항(www.kiom.re.kr)에서 설치 및 사용법을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


최고야 한의학연 선임연구원(한약기초연구그룹)은 “한약기원사전 2013은 한국·중국·일본·대만의 한약재자료를 우리말로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특징”이라며 “한의학 연구자와 한약재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