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앞으로 부처 간 칸막이 없애기 작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주말 장·차관 국정토론회에서 "칸막이에 둘러싸인 (부처 간) 업무를 신속히 파악하고 칸막이 제거 실행 계획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런 상황에서 교육과학기술부와 환경부 모델이 눈길을 끈다. 교과부의 기초연구성과와 환경부의 실용화 사업을 연계시키기 위한 후속연계 프로그램(Bridging Program)이 관심의 대상이다. 두 부처는 환경융합신기술개발사업을 최근 공고했다. 환경부의 Bridging Program은 지난해 6월29일 환경 분야 기초·원천연구 성과연계와 연구정보 공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업무협정 체결(한국연구재단-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후 양 부처의 노력과 협의의 결과여서 주목된다.
무엇보다 부처간 연구개발사업의 칸막이를 허물고자 지난해 6월 업무협정 체결 이후 연구자간의 합동성과발표회 개최, 양 기관간의 협의체 구성 등 상호 협력과 사업 발족을 위한 노력을 진행해 왔다. 이번에 지명 공고하는 후속연계 프로그램 과제는 교과부에서 지원된 에너지·환경융합 분야의 우수한 성과를 낸 기초연구 중 융합기술의 우수성, 환경시장에서의 파급효과가 크게 기대되는 과제들로 엄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됐다.
이번에 공고된 과제는 ▲Biogenic 나노금속촉매 고정화 신소재를 이용한 미량독성물질 처리 실용화 기술개발 ▲도시철도 열차 객실 내 미세입자 제거용 자석 필터 개발 ▲하이브리드 나노 복합재료를 이용한 휴대용 비소 측정기 개발 ▲에어로졸 광흡수 측정 장치 개발 등 4개 과제이다.
이번 과제는 지명공고로 하고 우수한 연구 과제를 선정하기 위해 지명경쟁 방식을 채택했다. 최종 선정된 2개 기관에는 3년 동안 총 20억원이 투자된다.
교과부 기초연구지원과 최도영 과장은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시작은 기초 R&D성과들이 실용화는 물론 사업화로 직접 연계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이번 환경부와 R&D 연계 추진은 새로운 국가연구개발 체계의 전략적 모델로 앞으로 더욱 확대,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종오 기자 ikoki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