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최호석 충남대 교수팀, 투명전극제조기술 개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4초

건식 플라즈마 환원기술로 투명 신축성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만들어…영국왕립학회 학술지에 실려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신축성 태양전지용 투명전극 제조를 위한 건식 플라즈마 환원기술이 충남대 최호석 교수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13일 충남대에 따르면 최호석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진(다오 반 드엉 박사과정생 외 3인)은 세계 처음 건식 플라즈마 환원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상온 대기압 아래서 투명전도성 산화물 표면위에 3nm 이하의 백금나노입자들을 고르게 안정적으로 붙일 수 있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투명 신축성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왕립화학회(RSC, Royal Society of Chemistry)에서 발간하는 재료화학분야 세계적 학술지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에 올 3월12일자 인터넷판의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지금까지 전도성 산화물 표면위에 금속나노입자들을 하이브리드하는 기술들은 고온, 저압, 액상 환경, 독성 환원제의 사용 등의 공정개발 제약성들을 갖고 있어 플라스틱 투명전극제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경제적인 연속공정개발에 제약이 돼왔다.


최 교수팀은 70℃이하의 온도와 대기압 아래서 유독성환원제를 쓰지 않고 투명전도성 산화물 고분자필름 표면 위에 금속나노입자들을 하이브리드 할 수 있는 뛰어난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개발된 건식 플라즈마 환원기술은 신축성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개발 등에 적용될 수 있고 여러 기능성 금속나노입자들이 붙은 범용 고분자필름생산에 쓰일 수 있다. 또 인쇄전자나 신축성 전자소자 개발분야에 있어 중요한 바탕기술도로 활용될 전망이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