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난해 정치테마주 기승..불공정거래 혐의종목 증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6초

[아시아경제 김소연 기자]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지난해 불공정거래 혐의 적발 건수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정치테마주가 기승을 부리면서 시세조종 혐의종목들이 다수 적발됐다.


29일 한국거래소 시감위에 따르면 지난해 이상거래에 대한 심리결과 불공정거래 혐의로 금융위원회에 통보된 종목은 282개로 전년대비 33종목(13%)이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정치테마주가 기승을 부리면서 정치테마주만 58종목이 적발됐다.

시장별로 보면 현물과 파생시장 모두에서 적발건수가 증가했다.


지난해 현물시장에서는 유가증권시장 57종목, 코스닥시장 143종목이 적발돼 전년대비 총 17종목(9%) 증가한 200종목이 적발됐다. 이중 중복으로 적발된 17종목을 제외하면 현물시장에서 순수하게 적발된 종목은 183종목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코스닥시장 적발 비중이 높은 것은 기업규모가 작고 거래량이 적어 상대적으로 불공정거래 대상이 쉽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현물시장에서는 시세조종 혐의를 받은 종목이 84개로 전체의 42%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는 전년대비 18% 증가한 수치로, 지난해 총선과 대선이 겹치며 테마주 등 다수 종목을 대상으로 하는 단기 시세조종행위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이어 미공개정보이용이 70종목(35%), 부정거래 25종목(13%), 보고의무 위반 17종목(9%), 단기매매차익반환 4종목(2%) 순이었다. 미공개정보이용혐의로 적발된 종목 중에서는 횡령·배임, 회생절차개시신청, 감사의견거절 등 악재성 정보이용이 전체의 61%를 차지해 부실·한계기업 내부자에 의한 손실회피행위가 여전한 것으로 분석됐다.


부정거래는 케이블TV 증권방송에서 소위 전문가들이 투자자를 유인하고 경영진 등이 신규사업, M&A 관련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행위가 증가하면서 전년대비 47% 증가한 25종목을 기록했다.


파생상품시장에서는 저유동성 종목을 위주로 불공정거래가 증가하면서 총 82종목이 적발돼 전년대비 16종목(24%) 증가했다.


이중 부정거래가 전년대비 60종목(545%) 급증한 71종목으로 전체의 87%를 차지했다. 이어 시세조종이 8종목, 미공개정보이용 3종목 순이었다.


혐의통보계좌는 2503계좌로 전년대비 34% 감소했고 부당이득금액은 2375억원으로 전년대비 10% 줄었다.


동일계좌를 이용한 다수종목 대상 단기 시세조종이 증가하면서 혐의계좌수는 감소한 반면, 부당이득금액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지난해 불공정거래 혐의의 주요 특징으로는 ▲다수종목을 대상으로 한 단기 시세조종 ▲파생상품 대상으로 한 초단기 시세조종 ▲회사내부자에 의한 시세조종 ▲증권방송·SNS 등을 통한 투자자 유인 ▲경영진 및 대주주의 허위정보 유포 ▲부실금융기관의 BIS비율 제고를 위한 윈도우드레싱 ▲저유동성 파생상품을 이용한 손익이전 등이 꼽혔다.


다수종목대상 단기 시세조종에는 장중 60분 이내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시장가 매수, 매도주문을 반복제출해 거래가 활발한 것처럼 투자자를 유인한 후 주가 상승시 주식을 매도해 차익실현하는 '60분 작전'과 소위 '상한가굳히기'로 불리는 '2일 작전'이 있었다.


파생상품을 대상으로 한 시세조종은 다수계좌를 통해 통정, 가장매매를 반복하며 시세를 상승시키고 투자자를 유인해 보유포지션을 청산하는 거래를 일중 수차례 반복하는 형태를 보였다.


거래소 시감위는 불공정 거래가 의심될 경우 불공정거래신고센터(http://stockwatch.krx.co.kr)에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김소연 기자 nicks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