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차이나 머니 제주 러시 가속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아시아경제 김창익 기자]제주분마이호랜드, 제주백통신원리조트, 차이나비욘드힐 관광단지, 무수천 유원지, 성산포해양관광단지, 헬스케어타운, 토평농어촌관광단지….


삼다도의 땅 제주에서 우후죽순 펼쳐지고 있는 개발사업 이름들이다. 사업비만 총 2조9647억원에 이른다. 특이한 것은 개발주체다. 바로 '차이나 머니'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다.

중국인들의 '제주 러시'가 한창이다. 중국 부동산 시장의 정체와 국제자유도시로서 제주도의 성장 가능성이 교차하면서 중국 자본이 유입되고 있다. 리조트 등 현재 추진 중인 부동산 개발 사업만 3조원 규모다. 해외 자본의 대규모 투자가 이뤄진다는 점에서는 일단 제주의 경제여건을 크게 개선시킬 긍정적 요소다.


24일 제주도에 따르면 2012년 4분기 중국인의 제주도 토지매입 건수는 146건으로, 전체 외국인 토지매입 건수(203건)의 72%에 달했다. 이들이 사들인 토지면적은 총 13만3368㎡, 279억9500만원으로 평균 건당 1억9176만원 가량이다.

이로써 2012년 말까지 중국인의 제주도 토지 매입물량 누적치(총 매입건수-총 매도건수)는 총 1548건, 192만9408㎡에 1240억6900만원에 달한다.


강동원 제주도청 투자유치과 사무관은 "각종 세제 혜택이 주어지는 투자진흥지구 제도와 외국인투자지역 지정 제도에 최근 영주권 제도가 더해지면서 중국 자본을 중심으로 한 외국기업들의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대규모 개발사업 진행으로 인한 난개발과 환경파괴 우려가 나온다. 자본 성격의 불명확성 등에 따른 이른바 '먹튀'를 경계하는 목소리도 있다. 한영조 제주경실련 사무처장은 "환경보전이 필요한 제주 중산간 지역(해발 200~500m)에서 추진되는 리조트 개발 사업만 3개에 달한다"며 "환경 파괴는 물론 투기에 대한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개발 붐이 일면서 제주도 부동산 가격은 빠르게 상승하는 추세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제주도 아파트 3.3㎡당 평균가격은 2008년 413만원에서 2012년 531만원으로 5년새 30% 가까이 올랐다.




김창익 기자 window@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