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래 산업, 나노(NANO)가 이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3초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나노(NANO)는 초미세 기술이다. 지금 전 세계는 나노를 기술뿐만 아니라 하나의 산업 문화로 받아들이고 있다. 아주 미세한 부분까지 측정하고 관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용되지 않는 산업이 없다. 전자와 정보통신은 물론 에너지, 화학, 기계 등 전 산업에 새로운 동력을 부여하고 있다. 나노가 10억분의1 M 정도의 분자나 원자 크기의 물체를 만들고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나노기술이 미래 경쟁력=우리나라 나노기술은 세계 4위권에 올라와 있다. 정부는 지난 2001년부터 1기와 2기로 구분해 투자를 진행해 왔다. 1기 계획기간(2001~2005년)에 연평균 2437억, 2기 계획기간(2006 ~2010년)에 2630억 원을 투자했다.

물론 선진국과 비교해 보면 예산이 부족한 게 사실이다. 지난 2009년 기준으로 ▲미국 18억6천만 ▲일본 11억3천만 ▲러시아 10억8천만 ▲유럽연합(EU) 9억 달러를 투자한 반면, 우리나라는 2억3천만 달러에 그쳤다. 선진국들의 투자규모가 우리의 3~8배 이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지난 10년 동안의 지속적 투자로 미국, 일본, 독일 다음인 세계 4위 나노 기술력을 확보했다. 이를 토대로 오는 2015년에는 세계 3위국 진입의 교두보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우리나라 나노기술 인프라와 인력 양성 시스템도 본 괘도에 올라섰다. 나노종합팹센터(포항), 나노소자특화센터(광주), 나노기술집적센터(전북)가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인력도 지난 2001년 3개 나노기술학과에 머물렀던 것이 2008년 59개로 늘어나 재학생만 7015명에 이른다. 관련 기술 인력도 2009년까지 ▲박사 163명 ▲석사 1156명 ▲학사 8255명 총 9574명을 배출했다. 나노기업 수도 지난 2001년 78개에서 ▲2009년 452개 ▲2011년 700개로 확산되고 있다.


부족한 부분도 없지 않다. 우선 개발된 기술을 조기에 상용화하는 시스템이 부족하다. 또 특허기간(20년) 내 상용화하기 위해 개발성과를 제품개발로 이어주는 전주기 관리시스템도 필요하다. 부처 간, 사업 간, 연구 주체 간 단절을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가장 절실하다. 나아가 우수기술을 조기에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원천기술 개발에 주력하는 교육과학기술부와 산업화를 지원하고 있는 지식경제부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프로그램 활성화가 시급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나노융합2020사업단 출범=교육과학기술부와 지식경제부는 앞으로 9년 동안(2012~2020년) 총 5130억 원 예산을 투입해 '나노융합 2020사업'을 시작한다. 이를 전담할 (재)나노융합2020사업단(이하 사업단)이 18일 공식 출범했다.


사업단은 글로벌 나노융합 스타제품 개발 등의 목표 달성을 위해 운영에 필요한 독립적 권한은 물론 과제 발굴·기획 및 평가, 관리, 사업화 등 프로젝트 수행에 관한 전권을 가진다. 사업단 맘껏 기술개발과 상업화를 해 보라는 주문이다.


그동안 기초연구에 중심을 둔 교과부와 산업화에 방점을 둔 지경부의 연계 미흡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됐지만 사업단의 출범으로 이런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사업단은 기존 연구개발(R&D)과 달리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전 주기 동시 지원을 통해 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사업화 기간도 단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업단은 오는 10월초 사업공고를 내고 사업설명회를 개최한 뒤 과제공모 절차를 거쳐 11월말 쯤 신규과제를 선정·지원할 계획이다.


사업단장에는 공모와 선정 절차를 거쳐 지난 8월27일 나노융합분야 국내 최고 전문가인 박종구 박사((전)KIST 다원물질융합연구소장)가 임명됐다. 박종구 단장은 "지금 우리는 실리콘반도체 이후를 고민해야 하고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등 NT-IT 융합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실에 서 있다"면서 "앞으로 나노 기술을 접목한 에너지 개발 등 다양한 차세대 먹거리 산업 개발에 매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기존의 R&D 개발이 아닌 개방형 혁신과 전주기 동시 지원에 대해 박 단장은 "상용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 틀에 갇히지 않고 온갖 방법과 수단을 총 동원 하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중점 육성 분야=나노융합2020사업단은 앞으로 2대 융합분야와 4대 전략품목에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먼저 NT-IT 융합분야에서는 ▲Post CMOS형 차세대반도체 ▲나노유연소자 품목이 선정됐다. 실리콘 반도체 이후를 준비하고, 휘어지고 유연성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 등이 목표이다. NT-ET 융합분야로는 ▲고효율 에너지변환기술 ▲물 환경·자원 처리기술 등 2대 전략품목이 우선이다. 두 품목은 앞으로 전 세계적으로 해결 과제로 떠오르는 에너지와 물 문제를 나노 기술로 해결한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정종오 기자 ikoki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